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유엔총회서 북핵 설전…한미일 "北 약속 불이행" vs 北 "한미가 원인"

기사등록 : 2022-10-19 16:0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한국 대표 "北 전술핵무기 사용 위협 개탄스러워"
북한 대표 "한미연합훈련이 한반도에 중대 위협"

[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18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에서 열린 유엔총회 제1위원회 회의에서 한미일과 북한 대표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놓고 설전을 벌였다.

19일 미국의소리(VOA) 방송에 따르면 발언자로 나선 김성훈 유엔주재 한국 대표부 참사관은 "북한이 전술 핵무기 사용을 위협하면서 여러 종류의 탄도미사일을 계속 발사하는 건 개탄스러운 일"이라고 비판했다.

유엔 총회 [사진=로이터 뉴스핌]

김 참사관은 "핵 협박과 미사일 도발에 더해 북한은 이제 7번째가 될 또 다른 핵실험을 할 준비가 된 것으로 평가된다"며 "국제사회가 북한의 핵 야망을 제어하지 못한다면 이에 따른 균열은 느리지만 분명히 확대돼 다른 나라들을 핵 구덩이로 끌어들일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한국은 윤석열 대통령의 '담대한 구상'에 따라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의 지속 가능한 평화 달성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무기'를 주제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는 북한의 핵무기 폐기를 촉구하는 각국의 규탄이 이어졌다.

오가사와라 이치로 일본 군축대사는 "일본은 북한의 강화된 핵과 미사일 개발 활동에 대한 깊은 우려를 다시 강조하지 않을 수 없다"며 "5년 만에 일본 상공을 통과한 지난 4일 탄도미사일을 비롯한 최근 일련의 발사를 강하게 규탄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일본은 모든 유엔 회원국이 관련 안보리 결의에 따라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핵 프로그램은 물론 모든 범위의 탄도미사일의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폐기를 달성한다는 목표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재확인할 것을 촉구한다"고 부연했다.

이어 "우리는 모든 회원국이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할 것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초 모 툰 유엔주재 미얀마 대사도 "북한의 반복적인 핵 탄도미사일 발사는 역내 평화와 한반도 안보에 더 큰 불안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특별히 역내를 비롯한 많은 나라들의 큰 우려가 된다"며 북한 비난에 동참했다.

북한에 대한 규탄 발언은 전날인 17일에도 나왔다.

특히 미국과 한국, 일본은 반박권(Right of reply)을 활용해 북한에 대한 집중 공세를 펼쳤다. 이에 북한이 재반박권을 사용하면서 한미일과 북한 간 '주고받기'식 설전이 벌어졌다.

미국은 17일 회의 끝부분에 따로 발언권을 요청해 북한의 최근 주장을 반박했다. 브루스 터너 미 군축대사는 "북한의 책임을 묻기 위한 어떠한 노력도 막고 있는 러시아, 중국과 더불어 북한이 국제 규칙에 근거한 질서를 조롱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고 언급했다.

터너 대사는 "우리는 일본 상공을 통과하며 일본 국민에게 용납할 수 없는 위협을 가한 북한의 위험하고 무모한 장거리 탄도미사일 발사를 규탄한다"며 "그런 행동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채택한 여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것은 북한의 불법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이 이웃 국가와 역내에 위협을 가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며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에 추가 도발 자제를 촉구한다"고 역설했다.

북한도 가만 있지 않았다. 반박권을 요청한 김인철 유엔주재 북한대표부 서기관은 "미국은 전례 없는 규모와 범위, 방법으로 북한에 대한 적대 행위와 핵 위협, 협박을 하고 있다"며 "우리는 이미 한미 연합훈련이 북한에 대한 적대감의 분명한 표현이자 한반도와 역내의 평화와 안보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다고 여러 차례 경고했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번엔 한국이 재반박에 나섰다.

유엔주재 한국대표부 김성훈 참사관은 "미국과 한국 등 국제사회가 1990년대부터 북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지만, 거듭된 북한의 약속 불이행과 갑작스러운 도발 등으로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김 참사관은 "전쟁을 일으켜 한국을 침략하고, 협정을 속이고 깨며, 적대적인 의도를 행동과 말로 내보이는 나라가 있다면, 그러한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집단적인 방식의 방어적이고 신중한 대응은 불가피하다"고 했다.

그는 북한이 자위권을 주장하며 유엔헌장 51조를 언급한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그렇다면 우리는 '모든 유엔 회원국이 유엔 결의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 유엔헌장 25조를 강조하고 싶다"고 피력했다.

이어 유엔헌장 51조만을 언급하는 것은 '이중 잣대'라며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은 합법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내와 그 너머 지역의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고 비판했다.

medialyt@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