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화 기자 = 국내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이틀 연속 5만명대를 기록하고 위중증 환자도 300명대로 진입하면서 사실상 7차 유행이 시작됐다는 전문가들의 관측이 나오고 있다.
확산세를 가늠하는 코로나19 감염재생산지수도 2주 연속 1을 넘어선 가운데 방역당국은 주간 위험도를 6주 만에 '중간'으로 상향했다. 해외로부터 유입된 신규 변이 상황에 따라 향후 7차 대유행 양상이 판가름 날 전망이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2일 0시 기준 코로나19 확진자가 5만4766명으로 집계됐다. 1주일 전인 지난달 26일(4만824명)에 견줘 1만3942명 늘었다.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는 303명으로 전날보다 15명 늘었다. 위중증자가 300명대로 진입한 건 지난달 11일(313명) 이후 22일 만이다.
질병청은 이런 신규확진·위중증 환자 수 증가 등을 고려해 6주 만에 코로나19 주간 위험도를 전국·수도권·비수도권 모두 '중간'으로 상향 조정했다. 10월 넷째 주(23~29일) 주간 신규 확진자는 23만3322명으로 전주 대비 35.5% 늘었다. 이는 재유행 본격화 이전인 7월 초 수준이다.
확진자 1명이 주변 사람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나타내는 감염재생산지수(Rt)는 1.17로 2주 연속 1 이상을 유지했다. 지수 '1' 이상은 유행 확산을 의미한다. 10월 셋째 주(16~22일) 주간 확진자 중 재감염 추정사례 비율은 9.87%로 전주 9.54%보다 0.39%p 증가했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국내에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 1000일이 된 15일 오전 서울 송파구보건소 임시선별검사소에서 시민들이 코로나19 검사를 받고 있다. 이날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2만 2844명이 늘어 누적 2천509만8천996명이 됐다. 2022.10.15 hwang@newspim.com |
임숙영 중앙방역대책본부 상황총괄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유행추세가 증가세로 전환 됐다"며 "최근 단풍 행락철로 인구이동 등 대면 접촉의 증가가 하나의 요인이 될 수 있고 그 이전의 백신이나 감염으로 인한 면역이 꾸준하게 감소한 점, 겨울철로 접어들면서 실내 활동이 많아져 3밀의 환경이 조성되는 등 종합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행의 규모나 정점 시기는 여러 상황을 면밀히 관찰해 판단해야한다"며 "전문가들과 같이 예측한 바, 유행의 규모와 시기에 대해 다양한 예측이 나오는데 대체로 12월~3월에 걸쳐 유행의 정점이 오는 쪽으로 예측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외 신규 변이의 전개 상황이 7차 유행에 있어 관건이다. 지난달 29일 기준 BA.5 변이 검출률은 88.3%로 아직 6차 유행을 주도한 BA.5 변이가 국내에서 우세를 점하고 있다. 해외에서 유행하는 오미크론 세부변이 BQ.1, BQ.1.1, XBB.1의 국내감염 검출률은 모두 소폭 증가했다.
BQ.1 변이 국내감염 검출률은 0.2%에서 0.4%로, BQ.1.1 변이는 0.4%에서 0.7%로, XBB.1 변이는 0.2%에서 0.5%로 각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변이 중 국내에서 눈에 띄게 늘어나는 변이는 나타나지 않고 있으나 다양한 변이들이 동시다발적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임 단장은 "델타 유행과 오미크론 대유행, BA.4·BA.5가 유행한 여름철 재유행 등 기존에 대유행이 나타났을 당시에는 대체로 변이와의 관련성이 있었는데, 현재는 어떤 특정 변이가 지배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국내로 유입되고 있는 해외 신규 변이들이 어떻게 우세화하는지에 따라 7차 재유행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한편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에 대응해 개발된 개량 백신의 추가 접종이 지난달 11일부터 시작됐지만 1일 0시 기준 대상자 중 2.5%만 맞은 것으로 집계됐다. 60세 이상 접종률도 대상자 대비 7.7%에 그치고 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