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G7, 北 ICBM 발사에 "안보리 추가 중대조처 필요"

기사등록 : 2022-11-21 07: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1일 공개회의 앞두고 중·러 압박 의도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주요 7개국(G7)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를 강력 규탄하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적인 중대 조처를 촉구했다.

20일(현지시각)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G7 외무장관들은 성명을 내고 지난 18일 북한의 ICBM 발사가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며, 북한의 지속적인 핵 개발이 평화 및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촉구에도 역내 불안을 초래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18일 평양 순안공항에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17형을 발사하고 있다. [사진=조선중앙통신] 2022.11.19 yjlee@newspim.com

G7은 북한의 ICBM 발사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추가적인 중대 조처를 포함한 국제사회의 단합되고 확고한 대응을 요구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든 국가가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 조처와 제재를 완전하고 효과적으로 이행하고 북한에 의한 대량살상무기의 위험을 긴급한 우선순위로 다룰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G7 외무장관들은 "다수의 ICBM과 일본을 통과한 중거리탄도미사일(IRBM)을 포함해 북한이 2022년 실시한 전례 없는 불법적인 탄도미사일 발사는 역내 및 국제 평화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가하고, 글로벌 비확산 체제를 약화한다"고 비판했다.

이어 "G7은 한국, 일본과 완전한 연대를 표명하며 북한을 향해 불안정한 행위를 멈출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날 성명은 유엔 안보리가 북한의 비확산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21일 공개 회의를 하루 앞두고 나온 것으로,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역할을 주문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안보리는 지난 5월에도 북한의 ICBM 발사에 대응해 미국 주도로 대북 추가 제재 결의안을 표결에 부쳤지만, 중국과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무산된 바 있다. 

kwonjiu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