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을 시사한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의 발언에 혼조세로 시작한 미 증시는 엇갈린 지표 속에 1일(현지시간) 장중 하락세로 돌아섰다.
이날 뉴욕 증시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고지인 200일 이동평균선(이평선) 근방에서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다.
전일 S&P500지수는 4080.11로 마감하며 지난 4월7일 이후 처음으로 200일 이동평균선 위에서 거래를 마쳤다. 14일 현지시간 오후 1시 20분 기준으로는 전장 대비 0.14% 하락한 4074.53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증시의 S&P500지수와 200일 이평선(11월 30일 기준, 자료=팩트셋, 다우존스, WSJ 재인용] koinwon@newspim.com |
일부 기술적 분석가들은 200일 이평선 돌파 여부를 랠리 지속을 위한 첫번째 통과 관문으로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 인플레·고용 지표는 완화 VS 제조업 지표는 '경기 둔화' 가능성 신호
이날 나온 지표들은 미국의 경제 상황과 관련해 시장에 엇갈린 시그널을 보내며 시장의 혼란을 더했다.
연준이 주시하는 물가 지수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10월 전년 동월 대비 5.0% 오르며 9월(5.2%)에 비해 상승세가 둔화했다.
앞서 발표된 10월 소비자물가지수(CPI)에 이어 미국에서의 물가 정점 가능성을 보이는 지표가 나오자 투자자들은 안도했다.
미국 맨해튼 식료품점에서 구매할 먹거리를 고르는 사람들 [사진=로이터 뉴스핌] |
고용 지표 역시 노동시장 열기가 둔화할 가능성을 신호하며 연준의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가능성에 힘을 실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19일 기준 최소 2주 이상 실업수당을 신청한 계속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160만건으로 2주 전보다 5만7000건 증가했다. 1년 만에 최대폭 늘어난 것이자 지난 2월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실업수당 청구 건수 증가는 실직한 미국인들이 새로운 직장을 찾는데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하루 전인 30일 나온 ADP의 11월 민간고용과 10월 JOLTs (구인·이직 보고서) 수치도 직전월보다 줄어들며 마침내 노동시장의 열기가 식기 시작했을 가능성을 신호한 바 있다.
반면 미국의 11월 제조업 경기는 30개월 만에 위축세로 돌아섰다
미 공급관리협회(ISM)가 발표하는 미국의 제조업 공급관리자지수(PMI)는 11월 49.0으로 집계됐다. 이날 수치는 2020년 5월(43.5) 이후 가장 낮다. 로이터 전문가 전망치 49.8도 하회했다.
로이터 통신은 이 같은 제조업 경기의 위축이 경기 침체의 전조가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전했다.
◆ 금리 인상에 따른 침체에 "이번 랠리 오래 못간다" 전망도
브리클리 파이낸셜그룹의 피터 부크바 최고투자책임자는 블룸버그에 "물가 상승세가 둔화와 연준의 금리 인상 사이클 정점 도달이 올해 시장과 경제가 넘어야 했던 첫 번째 산"이었다면서 "급격한 금리 인상, 이로 인해 높아진 가계와 기업의 차입 비용, 이어질 불황은 우리가 두번째로 넘어야 할 산이자 내년 핵심 과제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전일 브루킹스 연구소 연설에서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금리 인상 속도를 완화할 시간이 12월 회의에 올 수도 있다"며 기준금리 인상 폭을 완화할 뜻을 나타냈다.
하지만 의장은 과열된 노동시장이 진정될 때까지 기준금리 인상 자체는 계속하겠다고 밝혔으며, 현재 시장은 내년 중반까지는 연준이 금리 인상을 이어간다는 쪽에 베팅하고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사진=로이터 뉴스핌] |
연준의 금리 인상이 경제에 미칠 영향이 여전히 불확실한 가운데, JP모건체이스의 주식 전략가인 라코스-부하스 두브라브코 "연준의 금리 인상과 이에 따른 완만한 불황을 배경으로 내년 상반기 미 증시가 급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마크 헤펠레 UBS 글로벌 자산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 역시 "미 증시가 최근 반등하고 있지만, 거시경제적 여건이 증시의 랠리를 뒷받침할 상황이 아니라고 본다"면서 최근 나타난 랠리가 오래 가지 못할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는 이어 지금까지 금리 인상에 따른 누적된 효과는 경제 성장과 기업 순익을 압박할 것이라는 의견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