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우주경제 강국을 위한 산업 기틀을 다질 우주산업클러스터 대상지로 경남·대전·전남이 최종확정됐다. 한반도 주변의 신속한 감시와 국가안보를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하는 초소형위성 개발사업에 1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정부는 21일 오후 3시 30분 정부서울청사 대회의실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의 주재로 제22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제4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안 ▲초소형위성체계 개발계획안 등을 의결했다.
◆ 위성·연구 및 인재개발·발사체 특화지구 대상지 최종 선정
정부는 민간 주도의 우주산업을 본격 육성하기 위한 성장 거점으로서 '우주산업 클러스터'를 지정·구축한다. 이를 위해 경남, 대전, 전남 지역을 각각 '위성 특화지구',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 '발사체 특화지구'로 지정했다. 여기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특화지구별로 집중적인 지원에 나선다.
경남지역은 위성 산업의 구심점 역할을 수행할 체계종합기업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관련 기업이 다수 집적돼 있다는 점이 강점으로 꼽힌다. 이를 토대로 우수한 제조혁신 역량을 보유한 지역으로도 평가된다.
우주부품시험센터 전경[사진=경남도] 2021.08.19 news2349@newspim.com |
향후 적기의 위성 개발을 지원하고, 위성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 ▲특화 산업단지 조성 ▲우주환경시험시설 확충 ▲위성제조혁신센터 건립 등을 추진한다.
대전은 명실상부한 과학·연구도시로, 우주분야 핵심 연구기관, 교육기관, 기업이 밀집해 있다.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전문성과 인프라를 보유한 지역으로 꼽힌다. 이후 미래 우주 신산업 창출을 위해 필요한 ▲미래 선도형 연구개발 ▲우수 연구인력 양성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한다.
전남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발사장을 갖춘 '나로우주센터'가 구축돼 있다. 민간 발사장 확충이 가능한 최선의 지역으로 발사체 산업 육성 위한 최적의 여건을 보유했다는 점이 강점이다. 태동하는 민간 발사체 산업을 견인하기 위해 관련 기업이 집적할 수 있도록 ▲특화 산업단지 조성 ▲민간 발사장 등 핵심 기반시설 구축 ▲발사체기술사업화 센터 건립 등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정부는 민간이 구축하기 어려운 민간 우주발사장, 우주환경시험시설 등 우주 기반시설 관련 사업 예비타당성 조사를 이달부터 추진한다. 우주산업 인프라 구축사업은 8000억원 규모의 재원을 투입해 2024~2031년 추진한다.
◆ 한반도 주변 위협 감시·국가안보 위한 초소형위성개발 확대
정부는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에 대한 신속한 감시와 국가 안보대응력 강화를 위해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에 착수한다.
초소형위성체계는 다수의 영상레이더(SAR) 위성과 광학(EO) 위성으로 구성된다. 한반도 및 주변해역의 위기상황을 신속하게 감시하고, 해양안보 강화·재난 위협 등에 대비하기 위한 군집위성 시스템이다.
한국과학기술원이 개발한 큐브위성인 RANDEV가 사출되는 모습 [자료=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7.04 biggerthanseoul@newspim.com |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은 다부처 협력사업으로 국가 우주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정부 부처 간 공동으로 기획하고 사업을 추진한다.
정부는 초소형위성체계 개발사업에 이달부터 오는 2030년까지 9년간 총사업비 1조4223억원을 투입해 위성체, 지상시스템, 활용시스템 등을 개발‧구축한다.
이 사업을 통해 신속한 위성감시체계를 운영, 한반도 및 주변해역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안보대응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 뉴스페이스 시대에 부합하는 우주 핵심기술 확보 및 우주산업 육성의 기반도 마련한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회의를 통해 대한민국 우주경제 강국을 실현해 나갈 구체적인 청사진이 마련됐다"며 "우주항공청 설립,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 격상(국무총리→대통령) 등 우주항공 거버넌스 고도화, 달 착륙선, 차세대 발사체 등 첨단기술 개발, 민간 주도 우주발사사업, 위성활용 서비스 등 우주산업 육성 등 핵심적인 정책과제들을 신속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