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정치

대통령실 "北 무인기 도발 때 NSC 열 상황 아니었고 필요도 없었다"

기사등록 : 2022-12-28 10:3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일종의 작전 중, 긴박한 상황 진행됐다"
"이튿날 이른 아침부터 긴급 안보상황 점검회의"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대통령실이 북한 무인기 도발 당시 국가안보회의(NSC)를 열지 않았다는 야권의 비판에 대해 "열 상황도 아니었고, 열 필요도 없었다"고 반응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8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북한 무인기 도발에 직접 대응하는 기관은 합동참모본부"라며 "안보실장은 위기관리센터에서 상황을 모니터링하면서 대통령에게 수시보고하고 필요시 대통령 지시 상황을 받았다"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대통령실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 회의 모습. [사진=대통령실] dedanhi@newspim.com

고위 관계자는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한 후 상황이 종료된 후 NSC를 열어 평가하고 우리의 개탄이나 경고 메시지를 낼 상황은 아니었다"라며 "일종의 작정 중으로 긴박한 상황이 진행됐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대통령 지시사항을 수시로 받고 필요한 경우 국방 장관을 통해 전달하는 긴박한 상황"이라며 "NSC를 열 상황도 아니었고 열 필요도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상황이 종료된 이튿날 이른 아침부터 긴급 안보상황점검회의가 열렸다. 국방부 장관 합참의장, 합참 작전본부장, 국가안보실 차장, 관계 비서관들이 참석해 북한의 무인기 도발 상황에 대한 평가와 향후 대응 방안 대책을 집중 논의해 심도 깊은 회의를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NSC 개최 여부가 국민을 안심시키는 지표가 된다는 일각의 주장은 현실과 괴리가 있다"라며 "북한의 전략 도발 상황에서 실제적 도발 상황에 대응하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이어 "NSC를 개최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라 첫 번째 우선순위는 무인기에 대한 효과적 대응이었고 두 번째는 이를 평가하고 작전과 전반적인 우리 대응을 평하며 필요한 후속조치가 무엇인지 빠른 시간 내 점검해야 하는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앞으로 필요하면 NSC 상임위원들과 전략적 측면에서 대응할 수 있는 여러 방안들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

22대 국회의원 인물DB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