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대통령실이 북한의 무인기를 격추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너무 작아 우리의 대공시스템에 잡히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대민 피해가 우려돼 이후 체계적인 훈련 강화를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28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에서 기자의 관련 질문에 "무인기가 너무 작아 전방에 출현한 후 대공 레이더 등 우리 대공 시스템에 잡히지 않았다"라며 "F-15K나 기존 KP-1, 코브라 헬기 등이 대응했지만 너무 작고 레이더에 잡히지 않아 육안으로 식별해야 한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
2014년 3월 경기도 파주에서 발견된 북한 무인기. [사진=국방일보] |
고위 관계자는 "목표물에 들어와도 아파트 단지가 있어 기총 발사할시 대민 피해가 우려돼 쉽지 않다는 생각을 갖게 됐다"라며 "이 상황에서 격추하려면 아예 포기하든지 북한이 찍어가는 것이 구글 어스보다 못할 수 있으니 대단히 정교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만들어 훈련을 강화해야 하는데 대통령은 일단 후자를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대통령이 그래서 드론부대 창설을 지시했다. 이미 지작사에 드론부대가 있으나 대단히 미미하다"라며 "무인기 대응 개념 체계가 제대로 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분절화돼 잇는데 이것을 통합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그 다음에 전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단순히 무인기 대응 측면 뿐 아니라 드론 부대를 운영해 북한의 비대칭 전력이라고 일컬어지는 핵과 생화학무기 억제 및 대응에도 운용할수 있도록 전략적인 시각에서 대통령이 지시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대통령실은 북한의 무인기 도발의 목적에 대해 "우리 나름대로 국방과 안보를 위해 애를 쓰고 있지만 우리의 취약점을 드러내 남남갈등을 극대화하려는 것"이라며 "일종의 대남 통일전선전략의 일환"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북한이 올해 60여 차례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우리도 거기에 대응해 분주한 시간을 보냈다"라며 "북한이 여기서 노린 것은 역시 미국을 북한 페이스에 맞는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미동도 하지 않고 도발할수록 한미일 안보협력의 강도는 더 세졌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이 한미일 안보협력 강화를 도와준 격"이라며 "우리 입장에서는 북한의 전략 도발에 대한 가장 효과적 프로세스가 한미동맹과 한미일 안보협력이다. 북한이 수 많은 도발을 통해 기술적 진보를 이뤘을지 모르지만 전략적 승리를 장담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전제했다.
이어 "그런 상황에서 시선을 돌리고 남남 갈등을 유도하면서 추후 전략적 선택지를 모색하는 취지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