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2-12-28 16:04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은 전날 있었던 북한의 무인기 도발과 관련해 "북한의 어떤 도발에도 확실히 응징 보복하라"라고 지시했다.
윤 대통령은 28일 계획된 오찬을 취소하고 대통령 비서실 및 안보실 참모들과 가진 회의에서 "북한에 핵이 있다고 두려워하거나 주저해서는 안될 것"이라며 "응징 보복이 도발을 억제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북한 무인기를 격추시키지 못한 이유에 대해 "북한의 중대형 드론은 우리 레이더로 포착이 가능하고 미사일로 요격이 가능하지만 소형 드론은 일반 레이더로 포착되지 않는다. 요격도 대공화기 및 미사일로 격추가 어려웠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전자파, 레이저빔 등 미래전략 확충이 더 요청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고위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이런 무기 운용 체계의 전반을 점검할 것"이라며 "최근 근접 작전 드론, 해양 정찰 드론 등 드론 대응시스템 확보 예산의 미흡함을 강조한 바도 있다"도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북한의 선의와 군사 합의에만 의존한 대북 정책의 위험성을 이번에 목격하게 됐다고 국무회의에서 말 한 바도 있다"라며 "군이 보다 확고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군이 보여줄 수 있는 기강에 대한 대통령의 강조점은 있었지만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지는 않겠다"고 인정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