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친환경 항공유(Sustainable Aviation Fuel·SAF) 급유 시설을 보유한 국내 공항이 한 곳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5년부터 유럽 공항 이용 시 SAF가 포함된 항공 원료를 사용해야 하는 등 친환경 항공유 사용 관련 규제가 강화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엔 관련 시설이 전무한 상황이다.
정부는 국제적인 규제가 시작된 이후인 2026년에야 SAF 생산과 도입을 추진하지만, 여기에도 급유 시설 관련 대책은 빠졌다.
◆ SAF 급유 가능한 글로벌 공항, 증가 추세...2025년엔 EU에서 SAF 혼합 의무
[사진=국제민간항공기구(ICAO)] SAF 공급 공항 수 추이. 왼쪽 수치는 장기 계약, 오른쪽은 단기 계약 현황. |
2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공항 15곳 중 SAF를 급유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춘 곳은 '0'이다. 화석연료 기반의 항공유 설비가 급유 인프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SAF는 석유·석탄 등 기존의 화석연료가 아닌 동물·식물성 기름 등의 친환경 원료로 만들어진 항공연료로, 항공업계의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꼽힌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 89개 공항에서 SAF가 공급되고 있다. 이는 2015년부터 꾸준히 증가한 수치다.
아시아 지역에서는 일본이 첫 스타트를 끊었다. 일본 도쿄의 나리타, 하네다 공항이 지난 2020년 10월부터 SAF를 공급하고 있다. 올해부터 중국과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공항에서도 SAF를 공급하고 있다.
항공기에 SAF 주유가 가능한 공항이 늘어나는 이유는 SAF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의무화되는 추세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유럽연합(EU)은 2025년부터 역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항공유에 SAF를 섞어(2%) 쓰도록 규정했고, 2050년에는 그 비율을 63%로 늘리도록 했다. SAF를 섞지 않은 원료로 움직이는 비행기는 유럽 공항을 이용하는 데 제한이 따른다.
노르웨이와 스웨덴은 이미 SAF 혼합 의무화제도를 시행 중이다. 노르웨이는 2020년 1월 1일부터 0.5% 혼합 의무 시행 중이고, 스웨덴은 2021년 0.8%에서 매년 증가해 2030년에는 27%까지 높인다.
ICAO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9년 수준으로 동결하고, SAF사용 등으로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것을 장려하면서, 이를 초과한 항공사는 배출권을 구매해 상쇄토록 하는 '국제 탄소상쇄·감축제도(CORSIA)'를 지난해부터 운영하고 있다. 2026년까지는 '자발적인 참여'로 일종의 권고사항이었지만, 2027년부터는 의무적으로 이를 따라야 한다. 한국도 지난해부터 참여 중이다.
전 세계 항공사의 80%가 가입한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도 오는 2050년까지 항공사들의 탄소 순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기로 합의했다. 이에 유럽 항공기 생산업체 에어버스와 호주 항공사 콴타스항공은 SAF 산업에 최대 2억달러(약 2586억원)를 공동 투자하기로 했다. 지난해 12월 유나이티드항공은 100% SAF를 사용해 최초로 여객기 운항에 성공했다.
이와 달리 한국에선 SAF 사용 항공사는 대한항공뿐이다. 2017년 국내 최초로 SAF를 혼합사용해 시카고~인천 구간을 한 차례 운항했다.
◆ 국제선 하루 이용 고객 11만명 돌파하는 등 여객 운항 증가...한국산 SAF 도입은 2026년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주말을 앞둔 지난 10월 14일 오전 서울 강서구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청사가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2022.10.14 hwang@newspim.com |
SAF 규제가 본격화 되고 있지만 정부의 정책은 걸음마 단계다. 정부는 지난 10월 2026년 도입을 목표로 관련 기업들과 협의체를 만들어 SAF 생산 논의에 나선 상태로 내년 1월 관련 회의를 연다.
신종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 완하로 국제선 여객이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면서 국내 항공사들은 탄소 배출에 신경 써야 하는 입장에 놓였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SAF가 급유되지 않고선 유럽에서 운행 허가 자체를 내주지 않을 것"이라며 "한국 정유 업계에서SAF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데, 정부의 SAF 생산 실증사업에 문제 생기면 상용화에 시일 더 걸릴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 4일 인천공항 하루 이용객이 11만 명을 돌파했다. 하루 이용객 11만 명을 넘어선 것은 지난 2020년 2월 17일 이후 1021일 만이다.
국토교통부는 올 연말에는 국제선 운항횟수가 코로나19 전 대비 60% 수준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앞서 국토부는 올해 동계 스케줄(2022년 10월30일~2023년 3월 25일) 동안 162개 노선, 주 2711회 규모의 국제선 운항을 인가했다. 이는 코로나19 전 대비 58% 수준이며, 추후 여객 수요 상황을 고려해 추가 증편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 관계자는 "EU 규정에 맞춰 기존 2026년 도입 예정인 SAF 상용화를 최대한 서두를 것"이라며 "시설 설비는 공항이나 다른 유관 기관이 담당해야 할 부분"이라고 선을 그었다.
공항 관계자는 "아직 국내에 SAF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SAF 급유 시설 구축은 정부안에 따라가는 사안"이라며 "2024년 SAF 공항 부지를 물색할 예정으로 정부의 2026년 SAF 도입에 맞춰 관련 시설을 검토 중"이라며 말을 아꼈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