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글로벌

IMF총재 "美·EU·中 경기둔화로 올해 세계경제 더 힘들 것"

기사등록 : 2023-01-02 09:1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는 미국, 유럽연합(EU), 중국 등 '빅3' 경제국의 경기 둔화로 올해 세계 경제가 더욱 힘들 전망이라고 1일(현지시간) 밝혔다.

이날 CBS방송과 인터뷰한 그는 올해 세계 경제가 "지난해보다 더욱 힘들 것"이라며 "왜냐면 미국, EU, 중국 등 세계 3대 경제국의 경기가 동시에 둔화하고 있어서다"라고 말했다.

IMF는 우크라이나 전쟁 지속과 각국 중앙은행의 고금리 정책 지속 등으로 지난해 10월에 2023년 세계 경제 성장률을 그 해 7월 2.9%에서 2.7%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최근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폭증 우려로 세계 경제 성장 전망치를 더 내려야 할 수 있다고 게오르기에바는 경고했다.

그는 "40년 만에 처음으로 중국의 2022년 경제 성장률이 세계 평균 성장률을 하회할 가능성이 크다"며 "향후 수 개월 동안 중국에서의 코로나19 확산이 산불(bushfire)처럼 번지면서 올해 중국 경제에 타격이 되고 역내와 세계 경제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IMF는 지난 10월 중국의 2022년 성장률을 3.2%로 하향 조정한 바 있다. 이는 세계 경제 성장률 예상치 3.2%와 동일한 수치이지만 중국이 '제로 코로나' 방역 정책을 폐기한 시점은 지난달이다. 

게오르기에바는 중국인들이 여행을 시작하면 제로 코로나 정책에 따라 감염을 방지하는 안전지대를 뜻하는 '버블'(bubble)은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다며 "향후 수 개월은 중국에게 힘든 시기가 될 것이다. 중국의 성장률에 마이너스(-)가 될 것이고 세계 성장률에도 마이너스"라고 발언했다.

미국의 경우 "가장 복원력(resilient)이 있다"며 "미국은 경기침체를 피할 수 있고 미 노동시장은 여전히 강력하다"고 게오르기에바는 진단했다. 

다만 이는 '양날의 검'(mixed blessing)이기도 하다. 그는 "노동시장이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계속해서 기준금리를 높게 잡고, 더욱 오랫 동안 긴축을 해야 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고 꼬집었다.

지난해 연준은 1980년대 초 이래 가장 공격적인 긴축 통화정책을 펼쳤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3월 제로(0)에 가까웠던 기준금리는 현재 4.25~4.50%대로 높아진 상황이며, 금리 전망을 제시하는 점도표에서 내년 말 금리 예상 중간값을 5.1%(5.0~5.25%)로 제시했다. 

크리스탈리나 게오르기에바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2022.11.29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