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기(UAV‧Unmanned Aerial Vehicle)는 무선조종 비행 장치를 말한다. 미국에서는 흔히 꿀벌과 개미 등 벌목과 곤충 수컷을 뜻하는 영어 단어 '드론'(drone)이라고 부른다. 프로펠러를 여러 개 가진 비행체는 '멀티콥터'라고도 한다.
무인기 기원은 19세기 유럽에서 풍선에 폭탄을 싣고 사람이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적진에 들여보내면서 찾을 수 있다. 라이트 형제가 비행기를 발명하자마자 사람 없는 비행의 연구가 시작됐다. 군사적으로는 표적기로 사용됐다.
1950년대에 이미 무인기를 활용한 군사정찰이 시작됐다. 1970년대에는 무인기 체공시간이 유인기보다 월등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됐다. 당연히 군사적 가치가 극대화됐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무인기를 무장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무인기 시대의 서막이 열렸다. 미 공군에만 무인기 보유 대수가 1만1000여대가 된다.
전인범 전 특전사령관(전 유엔사 군정위 수석대표) |
◆'무인기 시대' 미 공군에만 1만1000여대 보유
무인기는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타지 않고 지상통제소(GCS‧Ground Control Station)에서 원격조종(Remote piloted) 한다. 또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Auto-piloted) 또는 반자동(Semi-auto-piloted) 형식으로 자율비행을 한다. 비행 형태에 따라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와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로 분류된다.
이러한 무인기를 격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지상통제소와 무인기 간의 통제 주파수를 교란한다. 무인기와 인공위성 간의 연결 네트워크를 방해할 수도 있다. 아예 무인기 통제 프로그램을 해킹해 아군이 하이재킹하거나 발진기지로 돌려보내서 추락시키거나 폭파시키는 방법이 있다. 지상이나 공중에서 미사일과 기관포로 쏴 떨어뜨릴 수 있다. 하지만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무인기 재질과 크기 때문에 하늘에서 찾기가 너무 어렵다. 발견을 하면 계속 추적을 해야 하는데 이것도 찾는 것만큼 어렵다. 그 다음에 무인기를 쏴서 맞춰야 하는데 이거 역시 손으로 모기 잡는 것처럼 어렵다.
2020년 아제르바이잔과 아르메니아 간 일어난 2차 나고르노‧카라박 전쟁과 현재 진행 중인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무인기 위력을 여실을 목도하고 있다. 특히 무인기 전쟁 시대에 준비가 돼 있지 않으면 큰 낭패를 본다는 사실이 명백하다.
이제 무인기에 의한 정찰과 통신, 화력 유도와 정보 수집은 물론 자폭드론까지 인간의 상상력 만큼 그 역할도 확대되고 있다.
◆'멍텅구리 무인기' 대응에 비용‧노력 소진 따져봐야
우리 군의 무인기 대비태세가 도마 위에 올라 있다. 앞으로 극복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다. 무인기를 중소기업에 우선적으로 맡긴다는 정부정책으로 드론은 많은데 쓸만하거나 순수한 국산기술은 없다.
겉보기에는 드론 기술이 앞서 있는 것 같지만 허상이다. 게다가 무인기 제어와 첩보 수신을 위한 주파수가 부족하다. 부족한 주파수를 공유하기 위한 기술과 관리 능력 부족 문제도 심각하다. 보이지 않는 부분으로 우리나라의 무인기 운영은 절망적이다.
북한 무인기 방어의 또 하나 문제는 북한 무인기가 값싼 저급품이라는 사실이다. 앞서 말한 쌍방향 교신이나 통제소 운영이 없는 이륙 이전에 좌표와 고도를 입력해주면 날아갔다 오는 식이다.
우리는 이런 무인기를 '멍텅구리 무인기'라고 한다. 이런 멍텅구리 무인기를 잡기 위해서 탐지와 식별, 추적과 격추에 엄청난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딜레마에 놓여 있다. 오히려 최첨단 무인기를 방어하는 것이 더 쉽다는 점이 황당한 현실이다. 물론 북한은 최첨단 무인기도 많이 있다.
모기가 앵앵거리면 잠자다가 하는 고민과 똑같다. 값싼 북한의 무인기를 방어하기 위해 엄청난 예산을 투자한다고 할 때 과연 방어는 가능 할 것인가. 그 예산을 다른 분야에 투자할 기회를 잃게 되는 기회비용 상실과 우리 노력을 소모하는 북한 전략에 말려들어 가는 것은 아닌지 잘 따져 봐야 한다.
※ 외부 필진 기고는 본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