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이수영 기자 = 올해 공공기관 채용도 '한파'가 예고된다. 기획재정부가 정원을 대폭 감축하면서 공공기관들이 신규채용 여력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올해 2만2000명 이상 신규로 채용하겠다고 밝혔지만 지난해 목표치(2만6000명)와 비교하면 15%나 줄어든 규모다. 특히 신규채용을 크게 늘린 문재인정부 시절과 비교하면 2017년 이후 6년만에 가장 적은 규모여서 말그대로 '한파' 수준이다.
◆ 올해 공공기관 2.2만명 신규 채용…작년보다 15.4% 감축
1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 등에 따르면, 정부는 올해 공공기관에서 총 2만2000명 이상을 신규 채용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 목표치(2만6000명+α)보다 15.4%나 줄어든 것이다.
최근 6년 간 정부가 공공기관 신규 채용 계획을 줄인 건 올해로 벌써 2년 연속이다. 공공기관 신규 채용 계획은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상승하다가 지난해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연도별 공공기관 신규 채용 계획은 ▲2016년 1만8518명 ▲2017년 19862명 ▲2018년 2만2873명 ▲2019년 2만3284명 ▲2020년 2만5653명 ▲2021년 2만6554명 ▲2022년 2만6000명 ▲2023년 2만2000명 등이다(그래프 참고).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 세대에 있어 공공기관 채용 규모는 취업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지금처럼 고용 한파가 불 때 공공기관 채용 규모가 늘어나야 청년 취업률에도 도움이 된다.
하지만 현 정부는 올해 고용 악화를 우려하면서도 청년 희망인 공공기관 채용마저 줄여버린 것이다.
◆ 올해 취업자 90% 급감…'청년의무고용제' 일몰에 실업난 가중
앞서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지난해 81만명에서 올해 10만명으로 90% 가량 급감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이후 되살아난 소비 심리로 일자리 수요가 확대한 것에 따른 기저효과라는 분석이다.
정부는 공공기관 청년 인턴 수는 전년 대비 1000명 늘렸다고 하지만, 인턴 수를 늘리는 방법이 공공기관 신규 정규직 수 축소를 대신하기엔 한계가 있어 보인다.
특히 올해를 끝으로 '청년의무고용제'가 일몰 예정이라 내년부터 청년들의 취업 고민은 더욱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청년의무고용제는 공공기관이나 지방공기업이 매년 전체 인원의 3% 이상을 청년으로 채용해야 하는 제도로, 지난 2021년 일몰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청년 실업 우려로 인해 올해까지 2년 연장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지난 5년간 문재인 전 정부에서 인력 충원 및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으로 공공기관 인원 수를 비대화해 현재 정상화를 위한 효율화를 진행 중"이라면서 "신규 입사자와 퇴사자간 비율이 어느 정도 맞춰져야 하는데 채용 인원 수를 늘리다보니 (오늘날) 비대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올해 공공기관 신규 채용을 4000명 정도 줄였지만 그동안 늘린 것과 비교하면 적은 수준이며,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청년들의 입장을 감안해) 최대한 적게 감축하려 노력했다"고 부연했다.
swimmi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