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관련주에 투자하면 되는 거야?" 모임의 인기 화두는 단연 챗GPT이다. 기특한 대답부터 엉뚱한 대답까지 각자의 챗GPT 경험담을 나누다가 "이러다 일자리 다 뺏기는 거 아냐?" 잠시 우려한다. 그리고는 그냥 AI 회사에 투자하는 게 좋겠다며 두루뭉실하게 마무리 짓는다. 사는 게 녹록치 않은 시대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챗GPT가 대졸 고소득 전문직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다는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림을 그리고 작곡을 하고 시를 쓰는 생성형AI가 넘보기 어렵다던 창의적 영역마저 흔들면서 저작권 논쟁에도 불이 붙었다. 생성형AI가 산업전반에 미칠 영향이 큰 만큼 이루어져야 할 사회적 합의도 늘어가고 있다.
오랜만에 서점에 갔더니 챗GPT관련 신간 매대가 별도로 놓여있었다. 지난 2월과 3월 네이버 쇼핑에 등록된 챗GPT 서적만 280 여종, 하루에 4종 이상의 책이 발간된 셈이다. 안타깝게도 제목과 표지만 다를 뿐 내용은 거의 비슷했다.
챗GPT 사용법, 등장배경, 제작사인 오픈AI에 관련된 내용 그리고 상당 부분이 챗GPT 사용화면 캡처들이었다. 출시 이후 짧은 시간 내 집필되었다는 한계를 감안해도 생성형 AI의 원리에 대한 충분한 설명과 장단점, 위험성, 사회적 과제 등을 함께 제시해주는 책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유튜브 상황은 더 심각하다. 챗GPT로 자동수익 창출, 챗GPT로 월 천만원 벌기, 챗GPT가 뽑아주는 (주식)종목 처럼 자극적인 제목에 즉각적인 수익화를 다룬 영상의 조회수가 챗GPT의 원리나 영향력을 제대로 설명해주는 전문가 영상보다 열배 가량 높았다.
기술 쓰나미 앞에서 사람들은 당황하고 혼란스러워한다. 혁신적일수록 더 그렇다. 혼란의 틈 곳곳엔 함정이 도사리고 있다. 부풀리고 현혹하고 위협한다.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용어를 내세우며 묻지마 투자로 유인하는가 하면 말도 안되는 비즈니스로 쉽게 돈을 벌 수 있다며 고가의 비법렛슨을 권하기도 한다. 기술은 인간의 욕망을 반영한다.
중립적으로 태어난 기술이지만 함정에 빠진 사람들로 인해 예상치 못한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우리는 이미 90년대 중반부터 2001년까지 닷컴 버블을 경험했고 NFT버블, 암호화폐로 인한 엄청난 손실과 사회적 혼란도 접했다.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
기존의 산업환경과 생활방식을 모두 재편할 것으로 예측되는 AI시대. 각종 함정에 빠지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꼭 알아야 할 상식 3가지를 정리해봤다.
첫째, 기술 자체는 돈을 벌어주지 않는다. 'AI 언어 모델로서 ChatGPT 자체는 수입이나 수익을 창출하지 않습니다.'라고 밝힌 챗GPT는 다만 기업이나 개인이 ChatGPT 또는 유사한 AI 기술을 사용하여 수입을 창출하거나 운영을 개선할 수 있다며 그 방법으로 고객 서비스, 맞춤 추천, 번역, 챗봇 개발, 상업콘텐츠 생성 등을 예로 들었다. 기술을 제대로 알고 적소에 활용할 때 비로소 수입을 기대할 수 있다. 챗GPT는 요약, 목차정리, 광고문작성, 템플릿 생성, 참고 아이디어 제시, 코딩 등에 뛰어나다. 돈을 벌고 싶다면 막연히 남의 말에 귀를 기울이기보다 챗GPT의 장단점이 무엇인지 직접 활용해보고 어떤 업무에 어떻게 결합시킬 수 있을지 또 이를 비즈니스 모델화 할 수 있을지 스스로 고민해보는 편이 훨씬 효과적이다.
들째, 챗GPT는 질문만하면 정확한 답을 척척 내주는 만물박사가 아니다. 챗GPT는 대규모 언어학습을 하고 사람의 피드백 강화학습을 거친, 주어진 질문(프롬프트)에 대해 최대한 자연스러운 답을 생성하도록 만들어진 인공 지능 언어 모델이다. 생성형인 만큼 존재하지 않는 환각을 보는 것처럼 '거짓 답변' '황당한 답변'을 쏟아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돼지고기 식혜 조리법을 물으면 있지도 않은 음식 레시피를 그럴듯하게 풀어낸다.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하지 못하는 AI의 태생적 한계가 일종의 환각(Hallucination)의 답을 만든다. 때문에 사실에 예민한 내용이라면 반드시 재확인이 필요하다.
족집게 주식 종목 추천을 기대하는 것도 곤란하다. 수 많은 변수가 작용하는 주식시장 정보를 2021년도 상황까지만 학습한 챗GPT에게 묻다니. 의미 없는 일이다.
동 시대 인물에 대해서는 믿지 못할 정보를 제공하니 특히 유의해야 한다. 미국의 법학자 조나단 털리는 최근 챗 GPT가 자신이 성범죄를 저질렀다는 거짓 정보를 퍼뜨리는 것을 발견했다. 동료 변호사가 연구를 위해 챗 GPT에 '성범죄 전과가 있는 법조인' 목록을 요청했는데, 챗GPT가 자신의 이름을 해당 목록에 포함 시켰다. 챗 GPT는 털리 교수가 알래스카로 수학여행을 가서 학생을 성희롱했다는 2018년 3월의 워싱턴 포스트의 기사를 정보의 출처로 인용했지만 이 기사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 유령기사였다. 호주 중소도시인 '햅번 샤이어'의 시장인 브라이언 후드도 챗 GPT 가 '뇌물 혐의로 수년간 옥살이를 했다' 언급했다며 제작사인 오픈AI에 "거짓 정보를 수정하지 않으면, 명예훼손 소송을 낼 수 있다"는 경고장을 날렸다.
사용자가 원하는 답을 만들어내는 생성형 모델은 키워드 방식으로 존재하는 문서와 매치시키는 검색모델과 원리부터 다르다. 사실성이 중요하다면 챗GPT가 아닌 검색 모델을 사용해야 한다.
셋째, 생각의 근육을 길러야 한다. 편하다고 빠르다고 그럴듯하다고 챗GPT에게 지나치게 의존하는 것은 자신의 능력을 갉아먹는 것과 마찬가지다. 스마트폰의 등장과 다양한 모바일 매체의 영향으로 우리는 스스로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지 정확하게 구분하지 못하는 시대를 산다. 쉽고 빠른 정보습득은 오래 가지고 깊이 남지도 않는다. 학생시절에 책을 읽고 독후감을 쓰면서 우리는 읽는 힘, 생각하는 힘, 쓰는 힘을 기른다. 만일 챗GPT에게 독후감을 대신 작성하게 한다면 그건 챗GPT를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을 키울 기회를 포기하는 것과 같다.
챗GPT 사용 시에 작은 습관을 만들어보자. 챗GPT에게 질문하기 전 머릿속으로 목적을 명확히 정리한다. 어떻게 질문하는 것이 효과적일지 생각해보고 메모한다. 그리고 챗GPT의 결과물에 반드시 자신의 관점과 의견을 덧붙여 다시 생각해본다.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안전해진다. 기술 변혁기, 제대로 아는 사람은 결코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
◇하민회 이미지21대표(코가로보틱스 마케팅자문) =△경영 컨설턴트, AI전략전문가△ ㈜이미지21대표, 코가로보틱스 마케팅자문△경영학 박사 (HRD)△서울과학종합대학원 인공지능전략 석사△핀란드 ALTO 대학 MBA △상명대예술경영대학원 비주얼 저널리즘 석사 △한국외대 및 교육대학원 졸업 △경제지 및 전문지 칼럼니스트 △SERI CEO 이미지리더십 패널 △KBS, TBS, OBS, CBS 등 방송 패널 △YouTube <책사이> 진행 중 △저서: 쏘셜력 날개를 달다 (2016), 위미니지먼트로 경쟁하라(2008), 이미지리더십(2005), 포토에세이 바라나시 (2007)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