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04-12 17:08
[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박진 외교부 장관은 12일 미국 정보기관의 대통령실 도·감청 의혹과 관련해 "지금 미국 정부 관련 기관에서 사실을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결과가 나오면 한국과 공유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박 장관은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의 재발방지 대책 촉구에 "미국은 이 문제를 심각성을 가지고 보고 있고 우리 정부와 긴밀하게 소통하면서 전적으로 협력해 나가겠다는 의사를 전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울러 "사실 확인이 이뤄지고 한미 간에 결과가 공유되면 저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면 미측에 합당한 조치를 요구할 계획"이라고 부연했다.
정부가 자료 유출을 언제부터 파악했느냐는 김홍걸 무소속 의원 질의에는 "어느 정부 부처에서 언제 처음 알았는지 확인 못했지만, 지난 주말에 해외출장을 다녀오면서 보고 받았다"고 했다. 도청으로 국익과 주권이 심각히 침해당한 것 아니냐는 지적엔 "도청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박 장관은 김 의원이 '어느 나라든 도청을 시도한다는 것은 국익과 주권을 심각하게 침해한 것이라는 것은 인정하느냐'고 묻자 "도청은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변했다.
그는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의 관련 질의에도 "한미 간 강력한 신뢰가 있기 때문에 대등한 동맹으로서 논의하지 못할 것은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박 장관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여당 의원 모임인 '국민공감'에 참석 후 기자들에게 "대통령실에서도 발표가 있었다"며 "상당수의 문건이 조작된 것으로 그렇게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날 외통위에서 정부와 여당은 유출된 문건이 사실과 다르다고 주장하며 정치공세라고 선을 그은 반면, 야당은 대통령실의 졸속 이전 문제를 거론하며 정부와 여당이 문제를 덮기에만 급급하다고 날을 세웠다. 여야는 이날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등 증인과 참고인 채택 문제를 놓고도 충돌했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