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김남국 코인 의혹 쟁점은 '2016년 이더리움 지갑'

기사등록 : 2023-05-18 15: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검찰, 2021년 업비트 등 계좌 및 코인거래 조사
업계 "자금 추적 피하려는 믹싱 앤 텀블링 안 보여"
2016년 이더리움 번 돈이 LG디스 및 위믹스 종잣돈 분석

[서울=뉴스핌] 홍보영 기자 = 검찰이 무소속 김남국(41) 의원의 대규모 코인 거래 종잣돈 출처를 찾아내는 데 있어, 김 의원의 2016년 이더리움 거래가 핵심 쟁점이라는 분석이 가장자산업계에서 나오고 있다. 김 의원이 처음 이더리움에 투자했던 2016년 2월 이더리움 가격은 2달러에 불과했는데, 현재 1800달러 정도로 900배 가량 뛰었기 때문이다. 이 수익이 자금출처 등 의혹이 제기된 위믹스 등의 시드머니(종잣돈)로 사용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지금까지 검찰 조사는 2021년 1월 업비트 등의 계좌에 입금한 내역과 자금의 출처, 이후 코인 거래 내역 등을 시작점으로 김 의원의 정치자금법 및 범죄수익은닉규제법 위반 여부, 조세포탈 여부 등을 조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코임마켓캡의 이더리움의 연도별 시세를 보면 2016년 첫주 1달러로 시작해 김 의원이 이더리움 투자를 시작했다고 밝힌 같은 해 2월 2달러(원화 약 3000원)로 2배가량 뛰었다. 김 의원은 지난 9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뉴스공장'에서 "2016년 2월부터 지인 추천으로 8000만원 정도를 이더리움에 투자했다"며 "당시 청년들이 가상화폐, 4차산업혁명 붐이다 해서 (관심이 많았다)"고 말한 바 있다.

이더리움 현재 시세는 1800달러 전후다. 김 의원이 약 2달러에 이더리움을 매수 했다면, 현재 900배나 오른 셈이다. 김 의원이 코인지갑에 이더리움을 그대로 보유했다면 720억원에 달하는 가격이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김남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검, 수원고검, 서울중앙지검, 서울동부지검, 서울남부지검 등 국정감사에서 질의를 하고 있다. 2022.10.18 leehs@newspim.com

업계는 김 의원이 지금까지 이더리움을 보유하지 않고 2021년 경에 팔아 현금화했을 것으로 분석한다. 2021년은 가상자산의 일일 거래대금이 증시를 앞지를 정도로 코인 투자 광풍이 불던 시기였다. 이더리움 등 각종 알트코인들의 가격이 2021년 말 최고점을 찍었다. 이 때문에 이더리움을 정리한 현금으로 위믹스 등 막 상장을 준비하는 신생 코인에 투자했을 거라는 분석이다. 특히 김 의원이 이더리움에 투자했던 2016년은 이더리움이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에 상장되지도 않았다. 즉 주식투자로 보면, 장외시장에서 번돈을 또 장외시장에 투자한 셈이다.

가상자산과 블록체인에 능통한 한 가상자산 전문가는 "김 의원의 해명처럼 2021년 1월 LG디스플레이 주식 전량을 매도한 대금 9억8574만원을 가상자산 초기 투자금으로 사용했다고 하더라도, 2016년부터 시작된 코인 거래 규모를 감안하면 '물 타기'에 불과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더리움으로 번돈으로 LG디스플레이 주식을 사고 팔아 위믹스 시드머니로 사용했다거나 또는 주식 매각 대금 없이 위믹스를 매수했을 것이란 설명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주식매도대금 입금 규모가 김 의원이 공개적으로 해명한 만큼 거짓일 가능성은 없다고 본다. 

게다가 위믹스 등에 투자한 김 의원의 클립지갑을 보면 자금세탁 범죄수익 은닉 등의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는 '믹싱앤텀블링'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으로 미뤄보아 자금세탁 의혹을 받을 것을 예상하거나 대비하지 못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상자산 전문가 김동환 원더프레임 대표는 "김 의원의 지갑을 분석해 보면, 추적을 피하기 위해 지갑을 계속 옮겨다니는 믹싱 앤 텀블링이 보이지 않는다"며 "믹싱 앤 텀블링을 전문으로 해주는 업체도 있고 2017년부터 투자자 사이에서 많이 알려져 있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전문가들은 시드머니의 출처를 파악하기 위해선 결국 2016년부터 시작된 이더리움 거래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김 의원이 이더리움을 매수한 뒤 차익을 실현하고 매도했을 가능성, 다른 코인으로 거래했을 가능성 등이 거론된다. 해외 거래소나 지갑을 이용했을 경우 검찰 추적이 어려울 수 있지만, 2016년 4월 국내 거래소에 이더리움이 상장된 이후 국내 거래소 지갑으로 이더리움을 옮겨왔을 경우 거래내역 추적이 가능하다. 국내에서는 코인이 2016년 4월 처음으로 이더리움을 상장했고, 코빗이 같은 해 5월 상장했다. 다만 코빗은 그해 3월부터 베타 단계로 비트코인으로 이더리움을 매수하는 형태로 이더리움 거래를 지원했다. 

byhong@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