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산업

삼성 이건희 '신경영 선언' 30년, 이재용의 30년 앞둔 과제는

기사등록 : 2023-06-07 14:1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삼성 과감한 결단, 세계에 높은 신뢰도 구축"
불확실성 커진 경영환경..."위험감수, 신사업키워야"

[서울=뉴스핌] 김지나 이지용 기자 = 이건희 삼성전자 선대회장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 선언'을 한 지 30년이 됐다. '신경영 선언'은 삼성을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시킨 시발점으로 평가된다.

반면 작년 10월 회장으로 취임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취임 당시 '신경영 선언'급 선언이 있을 것이란 기대와 다르게 아직까진 경영의 대원칙을 대외적으로 알린 적은 없다.

오히려 상징적인 선언 보단 대외변수에 녹록치 않은 경영 환경 속에 내실을 다지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는 모습이다.

◆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꾼' 삼성, 30년의 변화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꾸자.". 1993년 6월 7일 이건희 선대회장이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한 '신경영 선언'을 관통하는 한 문장이다.

변화와 혁신의 핵심은 '양을 버리고 질로 간다'였다. 당시 삼성 가전제품은 국내에선 1위 였지만, 선진 시장에선 찬밥 신세를 면치 못 했다. 세탁기 뚜껑이 맞지 않으면 뚜껑을 칼로 깎아 조립하는 수준으로 제품의 질이 멈춰 있었다.

고(故) 이건희 삼성 회장이 1993년 6월 7일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을 선언했다. [사진=삼성전자]

이에 이건희 선대회장은 선진시장에서도 팔리는 제품을 만들기 위해 '질'을 우선해야 한다는 판단으로 제품에 불량이 발생하면 라인 가동을 중단하고 문제점을 해결하는 '라인스톱제'를 시행했다. 또 구미사업장에선 불량률이 10%가 넘던 휴대전화 15만대를 소각했다. 이것이 그 유명한 '애니콜 화형식'이다.

이와 같이 삼성은 지난 30년 간 변화와 혁신을 거듭하며 글로벌 가전과 휴대폰 시장에서 선두 자리를 지키는 글로벌 기업으로 거듭났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삼성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불모지였던 한국에서 과감한 결단을 내렸고, 현재는 가전과 스마트폰 분야에서 부동의 1위를 유지하고 있다"며 "그 덕분에 삼성은 지금의 선진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갖춰 세계 어느 기업들보다도 높은 신뢰도를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또 이건희 선대회장은 반도체 사업을 삼성의 또 하나의 축으로 성장시켰다. 그 결과 '신경영 선언'을 발표한 1993년 3조1000억원 수준이었던 삼성그룹의 시가총액은 200배로 덩치를 불려 현재 삼성그룹의 기업가치는 600조원을 넘어선다.

◆저성장 시대, 한치 앞 안보이는 경영환경

이재용 회장이 직면한 경영환경이 이건희 회장 때와 다른 점은, 우리나라 경제가 고도 성장기를 거쳐 저성장 시대에 돌입했다는 점이다.

수출 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의 산업 구조상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수출이 늘어나야 하는데, 그 규모는 점점 줄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에 가장 큰 시장인 중국은 자체 기술력을 확보해 우리나라의 중국 수출 비중은 점점 쪼그라들고 있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일 오후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3 삼성호암상 시상식'에 참석하고 있다. 2023.06.01 mironj19@newspim.com

이 같은 경제 구조 변화에 삼성전자의 핵심 사업인 가전이나 휴대폰 역시 성장 정체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삼성전자 역시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라인업을 구축해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과거와 같은 성장을 기대하긴 어려운 실정이다.

반도체 사업을 둘러싼 경영 환경 역시 녹록치 않다. 반도체 기술은 미국과 중국 간 패권전쟁의 핵심 기술로 떠오르며, 미국의 중국 반도체 기술 수출 금지 등과 같이 기존 경영 공식을 깬 움직임들이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다.

기업 경영에 있어 가장 큰 리스크는 불확실성인 만큼, 이 같이 예측할 수 없는 대외 환경은 우려스러운 점이다.

◆이재용 "더 과감한 도전"...위기대응 더 강화해야

삼성이 현재 직면한 위기의식은 이재용 회장이 회장으로 취임할 당시 올린 '미래를 위한 도전'이란 글에서도 엿볼 수 있다.

이재용 회장은 "이건희 회장의 치열했던 삶을 되돌아보면 참으로 무거운 책임감이 느껴진다"면서 "선대의 업적과 유산을 계승 발전시켜야 하는 게 제 소명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안타깝게도 지난 몇 년간 우리는 앞으로 나아가지 못했다"면서 "새로운 분야를 선도하지 못했고, 기존 시장에서는 추격자들의 거센 도전을 받고 있다. 지금은 더 과감하고 도전적으로 나서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현재 삼성이 주목하고 있는 미래 먹을거리는 반도체, 바이오, 신성장 IT 등이다. 반도체 디램(D램)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고 있는 삼성은 반도체에 있어 팹리스(반도체 설계),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등 시스템 반도체 산업에서도 글로벌 1위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는 "현재 삼성의 독자적인 디자인, 생산, 판매로 이뤄지고 있는 반도체 사업 구조로는 세계 파운드리 1위 기업인 TSMC를 쫓아갈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기업)들이 부담없이 삼성에 주문하도록 사업 부문을 과감하게 독립해야 한다"며 "이재용 회장이 사업 위험을 감당하고 신사업을 받아들이도록 '리스크테이킹'과 '조직 경량화' 등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재계 관계자는 "애플카를 향해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애플의 움직임은 점점 명확해지고 있는데 반해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다음이 보이지 않는 것이 문제"라며 "반도체 사업이 너무 덩치를 키워 오히려 스마트폰 사업을 대체할 신사업에 돈을 투자하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abc123@newspim.com leeiy5222@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