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전미옥 기자 = 라면·밀가루로 시작된 정부의 가격인하 압박이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농심이 가장 먼저 라면값 50원 인하를 단행했으며 오뚜기, 삼양식품 등도 뒤이어 가격을 내릴 예정이다. 정부의 물가안정책이 심화되는 가운데 유업체와 제과·제빵업체들도 긴장의 끈을 조이는 모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농심은 내달 1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의 출고가를 각각 4.5%, 6.9% 인하한다. 소매점 기준 1000원에 판매하는 신라면 한 봉지 가격은 50원, 1500원인 새우깡 가격은 100원 낮아질 전망이다.
농심의 이번 가격인하 결정은 정부의 물가안정 권고 때문이다. 농심에 이어 오뚜기, 삼양식품도 조만간 라면 가격을 내릴 예정이다. 오뚜기 관계자는 "7월 중으로 라면 주요제품 가격 인하를 검토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삼양식품 관계자도 "가격 인하 폭과 품목, 시기 등을 논의 중이다"라며 "조만간 발표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황준선 기자 =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 라면 매대의 모습. 2022.09.13 hwang@newspim.com |
앞서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7일 한 방송에 출연해 높은 라면 가격에 문제를 제기하면서 인하를 권고했다. 최근 국제 밀 가격이 하락한만큼 제품가를 내리는 방안을 검토해달라는 것이다. 지난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국제 밀 선물가격은 한 때 t당 419달러까지 치솟았지만 올해 들어 t당 270달러 대까지 하락하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는 라면에 이어 밀가루에 대해서도 가격 인하 압박에 나섰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전날인 26일 대한제분, CJ제일제당 등 제분업체 10곳과 만나 밀가루 공급가 인하를 요청했다. 라면업계로부터 제분업체에서 공급받는 밀가루 가격이 지난해와 동일하다는 민원을 듣고 곧바로 제분업체를 불러 모은 것이다. 관련해 라면 제조원가에서 밀가루 비중은 20~30% 수준으로 알려진다.
당시 제분업체들은 밀 선물가격과 수입가격의 시차, 물류비를 비롯한 부대비용, 환율상승 등으로 밀가루 공급가 인하가 쉽지만은 않다면서도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정부의 제분업체 소집 하루 만에 밀가루 공급가 및 라면값 인하가 결정된 셈이다.
이번 가격 인하와 관련해 농심은 "국내 제분회사로부터 공급받는 소맥분(밀가루)의 가격이 오는 7월부터 5% 인하될 예정으로 농심이 얻게 되는 비용절감액은 연간 약 80억원 수준이다"라며 "이번 가격인하로 연간 200억원 이상의 혜택이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심은 CJ제일제당 등으로부터 소맥분을 공급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제분업체로부터 내달 소맥분 가격을 5%가량 인하하겠다는 확답을 듣고 라면 가격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통상 주요 업체가 공급가를 내리면 다른 업체들도 뒤따르는만큼 농심 뿐 아니라 오뚜기, 삼양식품이 공급받는 소맥분 가격도 비슷한 수준으로 내릴 전망이다.
밀가루와 라면값 인하가 현실화 되면서 유업체와 제과·제빵업체들은 긴장의 끈을 조이고 있다. 라면, 밀가루에 이은 정부의 가격인하 압박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우유의 경우 최근 원유가 협상이 시작되면서 가격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자 농식품부는 "정부는 원유가격이 인상되더라도 흰우유 등 유제품 가격이 과도하게 오르지 않도록 간담회 등을 통해 유업계와 긴밀하게 협력해 나겠다"고 강조했다. 사실상 유제품이 물가 안정 대상 품목으로 지목한 셈이다.
제분업체들이 소맥분 공급가 인하를 결정한 만큼 빵, 과자를 판매하는 제과·제빵업체와 식품업계 전반으로 가격인하 압박이 확산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SPC삼립을 지목하며 제빵 가격 인하를 요구하기도 했다.
이처럼 정부의 물가잡기 압박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여전히 업체들의 가격인상이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롯데웰푸드는 내달 편의점에서 판매하는 아이스크림 가격을 최대 25%, 매일유업은 치즈와 식물성 음료 출고가 최대 18% 인상한다고 밝혔다. 대상도 내달 청정원 양조식초와 맑은 닭곰탕 등 제품 5종의 편의점 공급가를 최대 13.5% 올린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지속적인 가격인하 압박을 놓고 볼멘소리도 나온다. 업계 한 관계자는 "그간 가격을 올리지 않고 버티면서 원가부담이 높아졌다"라며 "물가안정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현실적으론 운영상 어려움이 상당하다"고 말했다.
rom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