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태훈 박성준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에 미래와 자유, 안보 등이 담길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오는 18일 한미일 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경제안보동맹과 관련된 메시지도 담길 전망이다.
광복절은 1945년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된 것을 기념하고, 임시정부 법통을 계승한 대한민국 정부수립을 축하하는 날이다. 이에 역대 대통령들의 광복절 기념사에서 일본을 향한 메시지가 주목을 받기도 한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8월 15일 용산 대통령실 청사 잔디마당에서 열린 제77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경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2.08.15 photo@newspim.com |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두 번째 광복절을 맞이한다. 지난해 대통령실 잔디마당에서 실시된 제77회 광복절 축사에선 '자유'를 30번 외치며 인권과 법치 등을 강조한 바 있다. 특히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인 '담대한 구상'을 발표하기도 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이번 광복절을 맞아 미래지향적인 대일 관계 형성, 강력한 안보를 바탕으로 한 국방력 강화, 자유, 미래, 인권, 법치 등이 언급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연설문의 경우 윤 대통령이 모두발언 직전까지 직접 수정하기 때문에 어떤 주제가 키워드가 될 지는 알 수 없다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이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연설문의 경우 대통령께서 직접 쓰시기도 하기 때문에 마지막까지 알 수 없다"라며 "한일관계가 중점이 될지도 모르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지난 9일 독립유공자 및 유족 초청 오찬에서 "우리의 독립운동은 단순히 일제로부터 빼앗긴 주권을 찾는 것만이 아니었다. 왕정국가로 되돌아가려는 것도 아니었고, 더군다나 공산 전체주의 국가가 되려는 것은 더욱 아니었다"라며 "우리의 독립운동은 국민이 주인인 자유민주주의 국가를 만들기 위한 건국운동이었다. 따라서 우리의 독립운동은 우리 민족을 넘어서 인류 전체의 관점에서도 보편적이고 정의로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의 독립운동은 빼앗긴 주권을 회복한 이후에도 공산 침략에 맞서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내는 것으로, 그리고 경제발전과 산업화, 민주화로 계속 이어졌다"라며 "우리의 독립정신이 국제사회에 책임과 기여를 다하는 글로벌 중추국가 비전으로 계승되고 있다. 정부는 우리 대한민국이 국제사회와 연대하여 전 인류의 자유와 평화, 번영에 적극 기여하는 국가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같은 윤 대통령의 발언이 광복절 축사의 전초전이라고 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서울=뉴스핌]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5월 21일 히로시마 G7 정상회의장인 그랜드프린스호텔에서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와 한미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3.05.21 photo@newspim.com |
특히 윤 대통령이 오는 18일 캠프 데이비드에서 한미일 정상회담을 갖는 만큼 미래 지향적인 관계 발전을 위한 대일 메시지가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윤 대통령은 취임 이후 일본과의 셔틀외교를 복원, 화이트리스트 재개 등 미래 지향적인 대일 관계를 적립하는 데 주력한 바 있다.
양기호 성공회대 일본학과 교수는 윤 대통령의 광복절 메시지에 대해 "광복절 경축사는 광복에 관한 이야기뿐 아니라 국정 전반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라며 "내정이나 대북정책, 외교 등 국정 전반에 관한 메시지가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현 정부의 국정 운영이 미흡하다고 보는 국민이 있기 때문에 국민을 안심하게 하는 안정적이고 절제된, 그렇지만 희망을 줄 수 있는 메시지가 필요하다"라며 "마찬가지로 한일관계 관련해서도 그런 메시지가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호사카 유지 세종대 교수는 "한미일 공조 강화, 남북문제를 거론할 것 같다. 특히 북한에 대해서는 힘에 의한 평화를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과거 일본은 한국을 억압해 한반도를 지배한 제국주의 국가였지만, 현재는 미국과 함께 협력하는 파트너가 됐다'는 취지로 말할 것 같다"고 예측했다.
다만 그러면서도 "일본보다는 북한과 관련한 메시지를 더 낼 것 같다"라며 "힘에 의한 평화만 강조하기보다 대화와 타협, 교류에 의한 평화를 말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taehun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