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중국

[위기의 중국경제]① 소비·수출·투자 모두 빨간불...식어가는 성장동력

기사등록 : 2023-08-17 12:0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올해 강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던 중국 경제는 오히려 급속히 둔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더해 부동산 부분에서 채무위기가 불거지면서 금융위기에 대한 공포심이 중국 경제에 드리워져 있다. 게다가 청년 실업률이 치솟고 있고, 출생아수가 급감하고 있는 점은 중국 경제 발전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본지는 3회에 걸쳐 중국경제의 현 상황을 진단하는 기획기사를 준비했다.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소비, 수출, 투자, 산업생산 등 주요 경제지표가 모두 기대 이하의 성적을 보이며 중국 경제가 급속히 둔화되고 있다. 지난 9일 발표된 7월 CPI(소비자물가지수)는 2년 5개월만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서며 디플레이션 우려감을 조성했다. 이어 15일 발표된 소비, 산업생산 지표도 시장에 실망감을 안기며 '중국 경제 위기론'에 불을 지폈다.

[위기의 중국경제] 글싣는 순서

1. 소비·수출·투자 모두 빨간불...식어가는 성장동력
2. 부동산발 금융리스크와 위안화 딜레마
3. 청년실업률 50%·출생아수 6년 만에 반토막
4. 美경제에 '위기' vs. '기회' 엇갈린 시선
5. 디커플링·디리스킹에 "부양책도 美 눈치 봐야"

◆ 글로벌 IB, 올해 GDP 목표치 줄하향

중국의 경제 둔화에 대응해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속속 하향조정하고 있다. 올해 초만 해도 분위기는 좋았다. 중국이 지난해 12월 '위드코로나' 정책으로 전격 전환하자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성장률 전망을 상향조정했으며, 지난 1분기 GDP가 4.5% 성장했을 때도 많은 금융기관들은 중국의 성장률 전망을 재차 상향조정했었다.

하지만 2분기 GDP가 기대 이하인 6.3%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성장률 전망치는 하향조정됐다. 씨티그룹은 5.5%였던 전망치를 5%로 내렸고, 모간스탠리도 전망치를 5.7%에서 5%로 낮춰잡았다.

그리고 실망스러운 7월 경제지표가 발표되자 전망치는 재차 하향조정됐다. JP모간체이스는 지난 15일 올해 GDP 성장률 전망치를 지난 5월 전망치인 6.4% 대비 무려 1.6%P 낮은 4.8%로 하향 조정했다. 바클레이스도 GDP 전망치를 종전의 4.9%에서 4.5%로 낮춰잡았다.

중국 국무원이 지난 3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발표한 올해 GDP 성장률 목표치는 5% 내외다. 중국의 목표치를 하회하는 전망치들이 속속 출현하고 있는 것.

◆ 소비 부진이 가장 뼈아픈 대목

7월의 경제지표는 소비, 수출, 투자, 산업생산 등 모두 부진을 나타냈다. 7월 소매판매액은 2.5% 증가에 그쳤다. 수출은 위안화 기준으로 9.2% 감소했다. 고정자산 투자액은 3.4% 증가에 그쳤으며, 산업생산액 증가율 역시 3.7%에 불과했다. 모든 수치가 중국이 올해 목표치로 제시한 5% 성장과는 거리가 멀다.

중국으로서 가장 뼈아픈 대목은 소비 부진이다. 올해 수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예상은 지난해부터 존재했다. 때문에 중국은 내수 진작을 올해 경제 정책 최우선 목표로 설정한 바 있다. 내수 진작을 통해 산업생산과 투자를 끌어올리고, 수출 부진을 만회하겠다는 방침이었다. 지난해 12월 개최됐던 중앙경제공작회의는 "2023년도 경제운영 최대 목표는 내수 확대이며, 반드시 전폭적인 내수 확대 전략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내수는 미미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을 뿐이다. 코로나19 창궐 이전 8%대 증가세를 유지했던 점과 비교하면 7월 소매판매 증가율인 2.5%는 상당히 낮은 수치다. 올해 7월까지 누적 소매판매 증가율은 7.3%로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지난해 2분기 강도 높은 코로나 봉쇄 정책으로 인한 기저효과를 감안한다면 이 역시 기대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다. 내수가 둔화되는 만큼, 산업생산과 투자 역시 힘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다.

중국의 사회소비품소매액 증감율 추이[사진=중국국가통계국 캡처]

◆하반기 강도 높은 내수 부양책 나올 것 전망

중국의 내수가 부진한 원인으로는 ▲부동산 경기 침체 ▲높은 청년실업률 ▲주민들의 소득 증가율 둔화 ▲비관적인 경기 전망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과 이로 인한 투자 위축 등이 꼽힌다. 특히 중국의 부동산 시장은 현재 최악의 조정기를 거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면 소비가 위축된다.

이같은 배경에 16일 리창(李强) 국무원 총리는 하반기 정책 과제를 점검하는 국무원 전체회의를 주재하며 최우선 정책으로 내수 부양을 꼽았다. 그는 "국내 수요 확대에 힘을 기울여야 한다"며 "소비 촉진 정책을 지속 실시하고, 투자 정책 공간을 활용하며, 대량소비를 촉진시키고 민간투자의 활력을 주입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구체적인 방안들은 제시되지 않았지만 해당 발언은 ▲지방정부별로 주민들에 대한 소비쿠폰 발행 ▲정부 주도 인프라투자 강화 ▲복지 등 공공서비스 지출 확대 ▲민영기업 투자에 대한 금융지원 등의 정책이 나올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리창 총리는 이어 "중점 프로젝트 구상 작업을 차질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덧붙여 중국이 새로운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준비 중에 있음을 암시했다.

다만 중국 경제에 대한 비관적인 전망이 늘어나면서 중국의 부양책이 큰 효과를 보지 못할 것이라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미국 경제매체 배런스는 "중국 당국이 조치를 취하기 전에 더 많은 고통이 따를 수 있다"면서 "충분한 조치를 취하더라도 그 안도감이 오래가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리창 국무원 총리가 16일 국무원 전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신화사=뉴스핌 특약]

ys1744@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