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09-01 07:14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한을 교환했으며, 북러 간 무기 거래 협상이 활발히 진행 중이라고 미 백악관이 밝혔다.
미국은 북한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 자금 지원과 관련한 북·러 국적자 및 관련 기관들에 대한 제재도 발표하며 양측 밀착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커비 조정관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지난 7월 27일 북한 전승절에 평양을 방문한 것이 북한에 포탄 판매를 설득하기 위함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쇼이구 장관의 방북 이후) 김정은과 푸틴이 양자 협력을 강화하자는 내용의 친서들을 주고받았고, 이후 다른 러시아 관리들이 방북해 무기 거래를 논의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미 재무부 해외자산통제국(OFAC)은 북한 대량살상무기(WMD) 프로그램 자금 지원과 관련해 북한 국적자 전진영, 러시아 국적자 세르게이 미하일로비치, 러시아 단체 인텔렉트LLC를 특별제재대상(SDN)에 추가한다고 밝혔다.
재무부는 별도 자료에서 해당 조치가 "(최근) 실패한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에 대한 대응 차원"이라면서 "대량살상무기(WMD) 개발과 관련된 북한 기관을 직접 지원하거나 수입 창출을 도운 개인과 단체를 대상으로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제재는 북한의 군사무기 개발을 주도하는 제2자연과학원(공식 명칭 국방과학원)을 겨냥한 것으로, 재무부는 전진영이 코즐로프 회사에서 근무했고 러시아에서 북한 건설 노동자의 활동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또 코즐로프는 또 선박 제조에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물품을 조달할 수 있도록 전진영을 도운 것으로 전해졌는데, 해당 물품들은 군사 목적으로 전용이 가능한 '이중 용도(dual use)' 장비 및 기술이라는 게 재무부 설명이다.
브라이언 넬슨 재무부 테러·금융정보 담당 차관은 이번 제재 조치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해 북한의 탄도 미사일 및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를 타깃으로 한다면서 "미국은 북한의 불법적이고 파괴적인 활동에 맞서기 위해 한국 및 일본과 긴밀히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