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3-09-14 15:41
[서울=뉴스핌] 김태훈 기자 = 대통령실은 14일 북한과 러시아의 정상회담과 관련해 "현재 진행형으로서 중간에 결과를 단정해 최종 평가를 내리기엔 이른 시점"이라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취재진과 만나 "모든 진행 과정을 주도면밀하게 관찰하고 분석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는 2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러 정상회담과 관련된 메시지를 내놓을 예정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유엔총회 연설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교류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의 적절한 분석과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라며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 동맹 우방국과 우리가 할 수 있는 개별 조치, 다자간 조치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앞으로 우크라 전황 상황을 지켜보면서 우크라에 필요한 게 무엇인지 관찰하고 협의할 것"이라고 부연했다.
관계자는 캠프 데이비드 한미일 정상회담 과정에서 협의한 의무사항이 발동되느냐는 질문엔 "현재로서 캠프 데이비드의 위기 시 3국 간 협의에 대한 의무조항을 발동하겠다는 논의는 하고 있지 않다"라며 "이 사안은 유엔 안보리에 대한 결의 위반 문제다. 또 큰 거시적인 국제 안보에 대한 배반 행위이기 때문에 거시적으로 바라보고 있고, 구체적인 조치는 유엔 차원에서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이 문제를 캠프 데이비드와 연결짓지 않고 있지만, 아마 미국과 일본 안보 라인도 캠프 데이비드의 3국 공조를 약속했기 때문에 의식적으로는 (캠프 데이비드 협약) 연장선상에서 논의하지 않겠나"라고 부연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정보기관 수장이 북한의 로켓이 러시아에 공급되고 있다고 발표한 것과 관련해선 "정부 사항이라 구체적으로 말씀드리기 어렵다"면서도 "북한이 제공한 무기가 우크라이나 전쟁에 쓰여졌다는 사실은 매우 오래전부터 확인해온 사항"이라고 전했다.
관계자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중국과 고위급 간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느냐는 물음에 "러시아 내에서 진행된 문제에 대해 중국이 말을 아끼는 건 당연하고, 한중 간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다"라며 "또 심지어는 러시아와 우리나라 간에도 의사소통이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taehun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