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KYD출범 기획] MZ 20%만 "삶에 만족"…소득·일자리 불안 '절반' 넘어

기사등록 : 2024-01-29 11:1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9세~34세 청년 1100명 대상 설문조사
자기계발·교육·취업·창업 등 인식 조사
지난 1년간 소득 불안정 경험 청년 60%
안정적 삶 산다는 청년 10명 중 2명 불과
바깥 세상과 담 쌓은 청년 5%…쉬는 기간 긴 청년 지원 필요
저출산 시대, 청년 50%는 "가족 소중해"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청년을 꿈꾸게 하자'는 슬로건으로 유튜브방송 뉴스핌TV에서 'KYD(Korea Youth Dream)'를 출범했습니다. 29일부터 주중 오후 3~5시 방송하는 뉴스핌 KYD는 대한민국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유튜브 방송입니다. 뉴스핌은 KYD 출범에 맞춰 2030세대의 실태와 고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 분석했습니다.

[서울 = 뉴스핌] 김범주·박우진 기자 = 국내 4년제 지방 국립대 컴퓨터 학과 출신인 A씨(30). 졸업 후 여러 대형 IT 기업을 지원했지만, 수차례 낙방한 끝에 계약직으로 한 데이터 분석 업체에 입사했다. 하지만 '정규직'과의 차별은 컸다. 온갖 잡일을 도맡아 하다가 계약 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결국 퇴사했다. 이후 여러 회사 계약직을 전전하다가 공무원에 도전장을 내밀기로 했다. A씨는 "눈치는 보이지만, 안정적 삶을 택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2030세대 10명 중 6명은 A씨와 같이 '1년 간 소득 불안정' 상태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를 찾지 못해 불안해하는 청년이 50%를 넘어섰다.

현재 삶에 대해 만족한다는 청년은 10명 중 2명에 불과했고, 경제적 안정·가족 등 현실적 가치에 비중을 두는 청년이 많았다. 사회적 고립은 저학력 계층에서 높게 나타나면서 향후 사회의 잠재적 문제가 될 여지도 남겼다.

[KYD출범 기획-2030세대 설문] 글싣는 순서

1. MZ 20%만 "삶에 만족"…소득·일자리 불안 '절반' 넘어
2. 2030세대 10명 중 6명 N잡러 준비…"안정적 소득 위해"
3. 2030세대 60% "우리나라, 계층상승 어렵다"
4. 2030세대 10명 중 6명 "세금 더 내고 복지혜택 확대해야"
5. MZ세대 69% "경제적 여유없어 결혼 안한다"
6. MZ세대 40% "내집 마련 20년 걸릴 것"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30세대 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21.5%만 '삶이 안정적'이라고 답했다. '삶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는 21.1%만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뉴스핌의 'KYD(Korea Youth Dream)' 출범에 맞춰 MZ세대로 불리는 19세~34세 청년 1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5일~20일에 실시됐으며,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95%포인트다.

 
 

◆'현재 삶에 만족'하는 MZ, 고작 20%

'삶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항목에 대한 조사에서 응답자 대부분은 보통 또는 부정적 답변을 했다. 현재의 삶에 만족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21.1%만, 삶이 안정적이나는 질문에는 21.5%만 '그렇다'고 답했다. 청년 10명 중 2명만 안정적이나 만족하는 삶을 사는 셈이다.

고학력자 일수록 주체적이고 안정적인 삶을 산다고 느끼는 경향이 많았다. '본인의 노력이 지역공동체나 사회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느냐'는 질문에는 13.0%만 '그렇다'고 답했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대학원 이상 학력 보유자의 48.5%가 '주체적인 삶을 산다'고 답했고, 25.0%는 '안정적인 삶을 산다'고 생각했다. 남성 응답자들의 16.7%가 '지역공동체나 사회문제 해결에 영향을 미친다'고 답해 여성(8.9%)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소득 및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청년도 많았다. 지난 1년 동안 소득 불안정 경험을 묻는 질문에 59.8%가 '그렇다'고 답했고, 일자리를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거나 불안했다는 청년은 51%로 '절반'을 넘어섰다.

이 같은 응답률은 지난해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와도 맥을 같이 한다. 지난해 1~10월 일을 안 할 뿐 아니라 학업이나 취업 준비도 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은 41만 명에 육박했다.

문제는 '쉬는 기간'이 길어질수록 향후 고용 가능성이나 일자리의 질 자체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에 있다. 이는 고립·은둔 등의 문제로 확대될 여지도 남겨두고 있다.

실제 '집 밖으로 나가지 않았다'(3.9%)거나, '방에서 거의 나오지 않은'(1.4%) 비율은 총 5%를 넘었다. '직장이나 학교를 가기 위해 외출하는 경우'(41.5%)를 제외한 가끔 외출은 14%, 취미생활을 위한 외출은 8.1%, 편의점 등 방문 외출은 7.4% 등이었다.

 
 

◆MZ 43%는 '위급시' 돈 빌릴 사람 없어

청년의 43.2%는 금전적 도움을 요청할 곳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어려운 상황에서는 대체로 주위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성별, 학력별 차이는 있었다.

'낙심하거나 우울해서 이야기 상대가 필요한 경우 도움받을 수 있는 사람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75.3%가 '그렇다'고 답했다. 성별로 구분하면 여성(79.2%)이 남성(71.7%)보다 높았고,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68.8%)가 대학원 이상(87.7%)보다 낮았다.

최근 1개월 간 다른 사람들로부터 고립됐다는 감정을 느꼈다는 응답률은 51.7%, 소외감을 느낀 청년은 47.3%였다. 가족 또는 친척과 교류하지 않는 청년은 대면 방식이 16.4%, 비대면 방식이 27.6%였다.

갑자기 큰돈을 빌려야 할 경우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43.2%가 '부정적'으로 답했다. 부정적 답변은 고졸이하(60.3%)가 대학원 이상(26.6%)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가장 의미있는 것은 '돈', 그리고 '가족'

경제적 안정에 가치를 두고 있다는 응답도 많았다. 응답자의 65.2%는 '경제적 안정'에 의미를 둔다고 답했고, 특히 대학원 이상 학력을 갖춘 청년 층 응답률이 77.2%로 높게 나타났다.

1인 가구 비율 역대 최대, 사상 최저 출산율 등 전통적 가족 위기를 나타내는 지표가 나타나고 있지만, '가족이 의미있다'는 응답률은 53.7%였다.

지난해 통계청이 발표한 '1인 가구 통계'를 보면 29세 이하(19.2%), 30대(17.3%)로 총 36.5%가 2030세대였다. 2030세대에서 1인가구 비중이 높았지만, 가족의 가치를 높게 생각했다는 점이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남녀 모두 응답자 절반 이상은 가족의 가치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가치를 중시한다고 답한 남녀 비율은 각각 51.9%, 55.6%였다.

한편 예금, 주식, 가상화폐(코인) 등 '재테크를 전혀 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26.5%였다. 응답자의 31%는 예금, 채권 등 안정적 상품 투자에, 30.5%는 주식 및 파생상품에 투자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코인 등 가상화폐는 7.1%가, 부동산에는 3.5%를 각각 투자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wideope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