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히든스테이지
주요뉴스 사회

[KYD출범 기획] 2030세대 60% "우리나라, 계층상승 어렵다"

기사등록 : 2024-01-29 13:3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19세~34세 청년 1100명 대상 설문조사
신뢰도 50% 이상 정부 기관 無…경찰 신뢰도 가장 높아
응답자 80%, 계층 간 소득격차 크다
경제·정치상황은 '부정적' 인식
정의란, 능력·자격에 따라 더 많이 분배하는 것
아이 양육 및 교육 비용 부담 응답 30%
사람 신뢰할 수 있다 56%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대한민국의 새로운 미래, 청년을 꿈꾸게 하자'는 슬로건으로 유튜브방송 뉴스핌TV에서 'KYD(Korea Youth Dream)'를 출범했습니다. 29일부터 주중 오후 3~5시 방송하는 뉴스핌 KYD는 대한민국 청년들이 꿈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정책대안을 제시하는 유튜브 방송입니다. 뉴스핌은 KYD 출범에 맞춰 2030세대의 실태와 고민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 분석했습니다.

[서울 = 뉴스핌] 김범주·박우진 기자 = 사회·경제적 불평등이 매년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이른바 MZ세대인 20~30대 10명 중 6명은 '계층상승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2030세대의 80% 이상은 계층 간 소득격차가 크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능력이나 자격'에 따라 더 많이 분배하는 것이 공정하다는 응답이 4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국가기관에 대한 신뢰도는 50%를 미치지 못했다.

[KYD출범 기획-2030세대 설문] 글싣는 순서

1. MZ 20%만 "삶에 만족"…소득·일자리 불안 '절반' 넘어
2. 2030세대 10명 중 6명 N잡러 준비…"안정적 소득 위해"
3. 2030세대 60% "우리나라, 계층상승 어렵다"
4. 2030세대 10명 중 6명 "세금 더 내고 복지혜택 확대해야"
5. MZ세대 69% "경제적 여유없어 결혼 안한다"
6. MZ세대 40% "내집 마련 20년 걸릴 것"

29일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2030세대 인식조사'에서 응답자의 63.7%는 '계층상승이 어렵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80.8%는 '계층 간 소득격차가 크다'고 답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뉴스핌의 'KYD(Korea Youth Dream)' 출범에 맞춰 MZ세대로 불리는 19세~34세 청년 11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5일~20일에 실시됐으며, 표준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95%포인트다.

 
 

◆현재도, 10년 후에도 "계층상승 어려워"

2030세대 다수는 현재 뿐 아니라 10년 후에도 계층상승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층상승 가능 여부에 대한 질문에 36.3%만 '가능하다'고 답했다. 나머지 63.7%는 동의하지 않는다는 취지로 답했다.

성별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계층상승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였다. 현재와 10년 후 각각 계층상승이 어려울 것이란 응답은 각각 72.8%와 82.0%로 55.4%, 73.2%에 그친 남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제나 정치상황에 대해서는 '부정적' 시각이 많았다. 우리나라 경제상황이 양호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28.3%만, 10년 후 경제상황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는 33.2%만 '긍정적'이라고 각각 답했다.

현재 우리나라 정치상황이 양호하냐는 질문에 19.6%만 '동의한다'고 답했다. 10년 후 정치상황이 나아질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26%만 '동의'의 뜻을 밝혔다.

오는 4월 총선이 실시될 예정이지만, 정치에 대한 관심은 2030세대에서 낮게 나타났다. 사회정치참여에 대한 질문에 대해 27%만 '관심있다'고 답했다.

 

◆에듀푸어 양산하는 공교육…"누가 애 낳겠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 가계의 소비지출 대비 교육비 비중은 2015년 기준으로 16.2%다. 이는 프랑스, 영국, 스웨덴 등 주요 선진국을 크게 앞지르는 수준이다.

교육비 과부담 가구 비율도 다른 국가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았다. 소비지출의 10% 이상을 교육비로 쓰는 가구의 비율은 39.23%였다. 그동안 정부가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며 여러 정책을 내놨지만, 사교육비는 매년 느는 추세다.

최근 '의대 광풍'과 맞물리면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대 입시반도 등장했다. 정부의 오락가락 교육정책에 불안감을 느끼는 학부모는 사교육을 찾고, 학원들은 학부모의 불안 심리를 파고드는 등 악순환의 연속이다.

이 같은 불안감은 이번 조사에서도 나왔다. 청년 29.9%가 '아이 양육 및 교육 비용 부담'을 저출산의 원인으로 지적했다. '아이 없이 생활하는 것이 여유롭고 편해서'라는 응답이 12.6%, '아이를 키울 주거환경이 마련되지 않아서'라는 응답이 10.7%를 기록했다.

꿈을 이룰 수 없게 만드는 요인으로 '주거 불안'을 꼽은 응답자는 72.3%로 가장 많았다. 소득·자산 불평등(70.5%), 국내외 경제상황 악화(69.9%), 저출산·고령화의 가속화(69.1%) 등이 뒤를 이었다.

 

◆자격·능력에 따라 분배해야 '공정'

우리 사회에서 첨예하게 대립하는 '분배의 공정성'에 대한 개념도 2030세대에서는 다르게 나타났다. 응답자의 44%는 '능력이나 자격에 따라 더 많이 분배하는 것'을 공정이라고 답했다.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을 공정이라고 생각한다는 응답은 12.1%에 불과했다. 또 사회에 기여도가 높은 사람에게 더 많이 분배하는 것(15.6%), 필요한 사람에게 더 많이 분배하는 것(28.3%)을 공정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회가 청년을 차별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56.1%는 '차별받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노인(46.6%), 외국인(40.7%), 동성애자(29.7%), 장애인(24.8%) 순으로 각각 집계됐다.

 

◆경찰 신뢰하고, 투표로 '사회 활동'

사회를 구성하는 기관에 대한 전체 신뢰도는 50%를 넘기지 못했다. 전반적으로 청년들의 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낮다는 평가가 나온다.

가장 신뢰도가 높은 기관은 경찰(41.6%)이었다. 이어 검찰(32.2%), 감사원(31.1%), 정부(28.8%), 시민단체(28%), 노조(26.3%) 등이었다. 신뢰수준이 20%를 넘지 못한 기관으로는 정당(17.1%), 종교단체(17.5%), 국회(17.9%)가 꼽혔다.

지난 1년 간 참여한 사회 활동에 대한 조사에서는 '투표 참여'가 72.6%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변인에게 이야기하기 (50.6%), 기부하기(37.9%), 서명운동에 참여(37.6%), 불매운동에 참여(31.2%) 등 순으로 높았다.

한편 국회의원이나 시장, 군수, 구청장 등 주요 인사에 대한 인지도는 '절반'을 넘지 못했다. 시장·군수·구청장을 알고 있다는 응답률은 39.5%, 지역 국회의원에 대해 안다는 응답은 37.6%였다. 반면 시·군·구 의회 의원에 대한 인지도는 22.7%로 비교적 낮았다.

이외에도 우리 사회가 신용을 바탕으로 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에 대해서는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일반적으로 사람을 신뢰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조심해야 한다'는 응답은 56.6%로, '신뢰할 수 있다'는 응답(43.4%)보다 많았다.

wideopen@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