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사회

서울시, '장애인 자립절차' 개선…시설 퇴소 전후 상담·지원

기사등록 : 2024-02-26 11:15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설문 결과 '건강관리·고립감' 등 어려움 반영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앞으로 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 자립을 희망하는 경우 의료진이 건강 상태를 비롯해 자립역량을 면밀히 상담한다. 지원주택에 들어갈 때에도 바로 입주하지 않고 '자립체험 기간'을 통해 적응 과정을 거치게 된다.

서울시는 장애인의 성공적인 사회 정착을 돕기 위해 자립역량 점검부터 퇴소 후 지원까지 아우르는 '장애인 자립지원 절차 개선안'을 마련하고 시행에 들어간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올해 시내 39개 시설에 거주하는 장애인의 자립을 지원하기 위해 1900명의 자립역량을 조사할 계획이다.

이번 개선안에는 ▲의료인 등 전문가가 참여하는 퇴소 전 자립역량 상담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립지원위원회 퇴소 검토 ▲퇴소 후 정기적인 모니터링 등 지원과 신설·보완 절차가 담겼다.

[자료=서울시]

먼저 장애인의 시설 퇴소 결정 전에 진행되는 자립역량 조사는 의료진 등 전문가 상담과 대면 심층조사를 통해 신체·정신적 건강 상태 확인, 의사소통·일상생활 수행 정도 등을 고려해 우선자립·단계적 자립·시설 거주, 3가지로 구분해 지원한다.

자립역량 상담 후에는 사회에 건강하게 적응할 수 있을지 종합적으로 검토하는 '자립지원위원회'를 연다. 기존에 시설 관계자만 참여했던 퇴소위원회가 아닌 의료인·재활상담가·자립지원기관 관계자 등 전문가들이 퇴소·자립지원을 다각적으로 검토한다.

자립생활을 천천히 익힌 뒤에는 지원주택에 정착할 수 있도록 퇴소 절차를 밟는 동안에 충분한 체험 기간을 부여하고 퇴소 후에도 지역사회 정착에 불편이나 어려움이 없는지도 지속 모니터링한다.

시는 '장애인 자립지원 절차 개선'에 앞서 거주시설 퇴소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생활실태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지난해 8~12월 거주시설 퇴소장애인 700명(응답 487명)의 '자립 실태'를 조사했다. 그 결과, 응답자들의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31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전반적인 생활 만족도는 비교적 높지만 심층사례 조사 결과, 기저질환이나 병력이 있는 중증 고위험군의 건강 문제, 지역사회로부터의 고립감 등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건강상태 확인을 포함한 자립역량 조사, 자립체험 기회 등 절차를 추가키로 한 것이다.

정상훈 복지정책실장은 "시설에서 퇴소한 장애인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지역사회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면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지원 절차를 개선했다"며 "장애유형·건강 상태·소통능력·자립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최우선 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자립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