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증권·금융

이복현 금감원장 "부동산PF 연체율 관리 가능, 정상화 지원펀드 확대"

기사등록 : 2024-03-21 15:0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부동산PF 정상화 금융권‧건설업계 간담회 개최
애로‧건의사항 청취 및 사업장 재구조화 사례 등 공유

[서울=뉴스핌] 정광연 기자 =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연체율이 2% 후반대로 치솟은 가운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충분히 관리 가능한 수준이라며 위기설을 다시 한번 일축했다. 정상화 지원펀드를 추가로 확대해 부동산PF 정상화를 빠르게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은 21일 부동산PF 정상화 추진을 위해 금융권 및 건설업계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금융권과 건설업계가 정상화 가능 PF 사업장에 대한 자금공급 등을 위한 지원방안을 함께 논의하고 건설 현장의 생생한 애로·건의사항 등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2024.03.18 mironj19@newspim.com

이 원장은 "부동산PF 연체율은 2% 후반대로 관리 가능한 수준이지만 고금리 및 공사비용 상승 등으로 사업성이 현격히 악화된 PF 사업장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건설업계와 금융권이 머리를 맞대고 기탄없이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사업성이 낮은 사업장의 경·공매 등을 통한 정리·재구조화를 중점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또한 PF 사업장의 사업성을 보다 정교하게 평가하고 부실 사업장의 정리를 촉진하기 위해 '사업성평가 기준'과 '대주단 협약' 개편도 추진중이다.

특히 PF 금리와 수수료가 대출 위험에 상응해 공정과 상식 차원에서 합리적으로 부과되고 있는지 점검하는 등 건설업계의 금융부담 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권에 대해서는, 정리·재구조화 활성화를 위해 금융지주 계열사 등을 중심으로 모범사례를 계속 만들어 나갈 필요가 있고 부실 사업장의 매수 기반 확충 등을 위해 금융권 정상화 지원펀드의 조성규모 확대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오는 4월중으로 2000억원 규모의 여전 업권 펀드와 757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업권 펀드 추가 조성을 추진한다.

건설업계 참석자들은 사업장별 옥석가리기와 정리‧재구조화를 통한 사업성 개선이 필요하다는데 공감을 표하면서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장에 대해서는 금융권의 PF 자금공급이 보다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정상화 추진 사업장에 대해서까지 PF 금리 및 수수료를 과도하게 높게 요구하는 사례 등의 개선도 요청했다.

이에 금융지주를 비롯한 금융권 참석자들은 경·공매 등 다양한 방식의 재구조화 사례를 적극 발굴·추진하고 정상 사업장에 대한 금융공급 등 부동산PF 정상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 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 원장은 "성공적인 재구조화를 위해서는 각 업권이 손실 분담을 통해 양보하며 노력해야 한다. 멈춰왔던 PF 사업 진행이 재개되면 건설업계와 하청업체에게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주택공급 활성화에도 기여해 국가 경제 전반에 걸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생각한다. 해결방안을 찾는 데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peterbreak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