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GAM

[GAM]美 중립금리 4% ① 연준 피벗을 향항 경고, 랠리 꺾이나

기사등록 : 2024-03-27 17:10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기준금리의 좌표 R* 논란 가열
월가 4%에 힘, 이유는
연준 진단 시장과 괴리

이 기사는 3월 22일 오후 4시0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황숙혜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3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2024년 세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고한 가운데 월가에서는 중립금리(R*) 논란이 뜨겁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이전에 비해 미국의 중립금리 수준이 크게 높아졌다는 주장이 꼬리를 물고 나온다.

월가 구루들의 판단대로 중립금리가 높아졌다면 기준금리 인하 폭이 제한되는 한편 자산시장에도 작지 않은 파장을 일으킬 수 있어 주목된다.

중립금리란 실물 경기를 가열하지도, 냉각시키지도 않는 균형점을 뜻한다. 인플레이션도, 디플레이션도 유발하지 않고 잠재 성장률을 실현할 수 있는 이론적인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기준금리와 달리 중립금리는 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공감대가 형성될 뿐 특정 수치로 결정되는 금리가 아니다.

래리 서머스 미국 전 재무장관 [사진=블룸버그]

영문 표기로는 R*인데 R은 금리(rate)를 의미하고 별(*)은 북극성을 뜻한다. 중립금리가 기준금리의 좌표라는 얘기다.

연준의 피벗(pivot, 정책 전환) 기대감이 고조된 가운데 최근 불거진 미국 중립금리 논란이 시선을 끄는 이유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블룸버그]

래리 서머스 미국 전 재무장관은 지난주 블룸버그TV와 인터뷰를 갖고 "미국 중립금리가 4%를 웃돌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경제에 매우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변화가 벌어지고 있지만 연준이 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다"며 "지금의 통화정책이 제약적이라는 판단은 틀렸다"고 말했다.

중앙은행 정책자들의 중립금리 판단은 한 나라 경제의 생사와 직결돼 있다. 중립금리를 오판한 채로 기준금리를 결정하면 실물 경기를 냉각시키거나 과열시킬 수 있고, 자산시장도 왜곡시킬 수 있기 때문.

미국 중립금리가 팬데믹 이전과 같은 2.5% 수준이라고 판단하면 5.25~5.50%인 기준금리가 매우 제약적이라고 볼 수 있지만 실상 좌표가 4% 내외로 수위를 높였기 때문에 과거 잣대를 근간으로 통화정책을 운용했다가 커다란 실책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서머스 전 장관의 주장이다.

투자은행(IB) 업계에서도 같은 의견이 제시됐다. RBC 캐피탈 마켓의 엘사 리그노스 이코노미스트 역시 중립금리가 4%를 넘어섰다는 진단을 내렸다.

때문에 2024년 연준이 세 차례의 금리 인하를 강행하더라도 최종 금리가 4% 후반에 머물 것이라는 얘기다.

BMO 캐피탈 마켓의 이안 린젠 이코노미스트 역시 "연준의 현재 통화정책이 과연 긴축적인지 다시 판단해 봐야 한다"며 "연준의 3차례 금리 인하 예고가 오히려 더욱 극심한 베어 스티프닝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 허드슨베이 캐피탈의 샌더 거버 최고경영자(CEO)는 배런스의 칼럼을 통해 중립금리 수준의 상승을 주장했고, 지난 2020~2021년 미국 재무부에서 수석 보좌관을 지낸 스티븐 마이란 맨해튼 연구소 연구원 역시 같은 목소리를 냈다.

국제결제은행(BIS) 역시 최근 보고서를 내고 미국 중립금리 수준이 팬데믹 이전에 비해 1.5%포인트 가량 높아졌다는 진단을 내렸다.

미국에 중립금리 논란 불거진 이유는 연준이 2022년 3월부터 제로 수준의 기준금리를 23년래 최고치인 5.25~5.50%까지 올렸지만 인플레이션이 끈적끈적한 상승을 지속하는 한편 실물 경기 역시 강한 저항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통화정책이 얼마나 제약적인지를 판단하는 잣대가 결국 경제 지표인데 인플레이션부터 성장, 고용까지 꺾이는 신호가 나타나지 않자 중립금리 수준이 높아졌다는 주장에 불이 붙은 것.

미국 2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기 및 전월 대비 각각 3.8%와 0.4% 상승해 월가의 예상치를 모두 0.1%포인트씩 웃돌았고, 같은 기간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보다 0.6% 상승해 예상치보다 두 배 뛰었다.

뿐만 아니라 3개월 기준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연율 기준 4.2%를 기록해 2023년 6월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경제 성장률도 마찬가지. 2023년 하반기 미국 경제는 연율 기준 4% 성장했고, 애틀란타 연방준비은행은 2024년 1분기 성장률 전망치를 2.5%로 제시했다.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점도표 [자료=연준]

2월 미국 실업률이 3.9%로 상승했지만 여전히 고용 시장이 호조를 이루고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번 점도표에서 연준은 중립금리 추정치를 2.6%로 제시, 12월 2.5%에서 완만하게 높여 잡았다. 하지만 월가의 진단과는 여전히 커다란 괴리를 보이는 상황.

미국 CPI와 PPI 추이 [자료=블룸버그]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틀간의 통화정책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점도표에서 제시된) 2026년 금리 전망 중간값(3.1%)이 중립금리 수준을 상당폭 웃돈다"고 말했다.

눈에 띄는 점은 연준 내부에서도 중립금리를 점도표 중간값보다 높게 판단하는 정책위원들이 상당수에 이른다는 점에다.

점도표에서 서머스 전 재무장관이나 RBC의 주장처럼 중립금리를 4%로 판단한 의견은 확인되지 않았다.

하지만 3.75%라는 의견이 한 건 포착됐고, 3.5% 진단도 두 건 나타났다. 점도표에 3% 이상으로 찍은 정책위원은 7명으로 파악됐다. 의견을 제시한 18명의 정책자들 가운데 약 40%가 중립금리를 3% 이상으로 판단한 셈이다.

앞서 대표적인 매파로 분류되는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는 "브레이크에 두 발을 모두 올린 것으로 판단했지만 실상 한 발만 올린 상태"라며 중립금리 레벨이 팬데믹 사태 이후 높아졌다는 주장을 펼쳤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란타 연은 총재 역시 중립금리 수준을 2.50~3.00%로 판단했다. 그는 금리 인하 적정 시기를 3분기로 제시한 바 있다.

이와 별도로 세인트 루이스 연은이 제공하는 데이터에 따르면 5년물 선도 스와프 금리는 중립금리 수준을 4.25%로 제시한다. 이는 이번 점도표의 중간값인 2.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중립금리에 대한 판단은 궁극적으로 연준의 금리 인하 사이클이 종료될 때 최종 금리 수준과 직결되는 문제라는 점에서 커다란 무게감을 갖는다.

알리안츠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는 보고서를 내고 "연준과 시장의 중립금리 판단에 뚜렷한 괴리가 나타나고 있다"며 "장기 정책금리 전망이 단기적으로 피벗 시기나 횟수보다 훨씬 중요한 사안이기 때문에 진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국 투자 매체 배러스는 이번 점도표에서 2024년부터 2026년까지 기준금리의 하락을 예고했지만 최종 금리가 이번에 제시된 중간값보다 높은 지점에서 결정될 여지가 높다고 보도했다.

 

shhwang@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