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4월 2일 오후 2시1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오상용 글로벌경제 전문기자 = *①편 기사에서 이어집니다
3. 미국의 노랜딩(No landing)
엔 약세 심화로 일본은행(BOJ)의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속도를 낼수 있다는 베팅이 금리스왑 시장에서 늘고 있다. 외국계 투자자를 중심으로 증가하는 이러한 베팅 혹은 헤지성 거래는 미국 경제가 잡아당기는 힘에 이끌려 달러-엔 환율이 심리적으로 중요한 레벨에 다가설 때마다 두드러질 수 있다.
간밤(4월1일) 공개된 미국의 3월 ISM 제조업 지수처럼 미국 경제지표의 서프라이즈가 반복되는 구간에서 특히 그렇다.
미국의 3월 ISM제조업 지수는 50.3을 기록해 전월치(47.8)와 예상치(48.3)를 모두 웃돌았다. 헤드라인 지수가 기준선(50)을 넘어서며 확장영역에 들어선 것은 2022년 9월 이후 처음이다.
경기 선행성이 강한 신규주문지수가 전월 49.2에서 51.4로 상승했고, 생산지수는 6.2포인트 급등하며 54.6을 나타냈다. 인플레이션 지표인 지불가격지수 역시 전월 52.5에서 55.8로 치솟아 20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용지수도 45.9에서 47.4로 상승했다.
ISM 제조업 지수 추이 [사진 =koyfin] |
여전히 견조한(최근 다소 주춤해진 경향이 있지만) 서비스업 경기에다, 제조업 경기의 회복까지 장착하며 미국 경제는 한층 강력해졌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는 미국 경제가 1분기중 전분기비 연율 기준으로 2.8%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추정했다. ISM 제조업 지수의 서프라이즈를 반영해 성장률 추정치를 종전 2.3%에서 2.8%로 높여 잡았다. 미국 경제는 아직 착륙할 생각이 없다 - 노 랜딩(No landing).
ISM 제조업 지수가 보여준 끈적한 물가상승률 압력과 활기찬 생산활동은 지난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과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이사의 `(금리인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발언을 뒷받침한다. 머니마켓에서는 연준의 6월 금리인하 가능성과 연내 금리인하 예상폭을 더 낮춰잡았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올해 연준의 금리인하폭을 66bp로 점쳐 금리인하가 3차례에 못미칠 가능성을 일부 반영했다.
지난주 기관들의 분기말 포트폴리오 조정(많이 오른 주식을 일부 팔고 국채를 매수)으로 일시 후퇴했던 미국 국채 금리는 간밤 급하게 튀어 올랐다. 미국 10년물 국채수익률은 10bp 넘게 급등하며 4.3%선을 돌파했다. 단기물(2년물)보다 장기물 금리의 오름폭이 커지면서 수익률곡선은 가팔라졌다 - 베어 스티프닝.
오르는 미국 국채 금리를 따라 달러-엔 환율도 장중 151.7엔에 바짝 다가섰다. 일본 외환당국의 최근 거듭된 개입 엄포에 152엔을 넘어서지는 못했지만 수면 아래에서는 미국발 동력에 의해 달러-엔 상승 압력이 계속 축적되고 있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의 GDP나우는 미국 경제가 1분기 연율 기준 2.8%의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추정치를 높여잡았다 [사진 = 애틀랜타연은] |
4. 중국의 턴어라운드..그리고 유가
일본 당국이 임시방편(환율개입)으로 시간을 번다 해도 엔 약세를 추동해온 펀더멘털에 근본적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면 환율과 금리 사이에서 BOJ의 딜레마는 사라지기 어렵다. 금리스왑 시장에 참여하는 외국계 투자자들 사이에서 `BOJ가 예상보다 일찍 그리고 자주 금리인상에 내몰릴 것`이라는 베팅이 늘어나고 있는 것도 여기에(BOJ의 딜레마)에 바탕한다
물론 이들의 시각이 대세로 자리잡은 것은 아니다. 소수의견에 가깝다.
여전히 일본 국채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는 BOJ가 연내 한 차례 추가 인상에 그칠 것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룬다. 지난 3월21일 블룸버그 서베이에 따르면 이코노미스트들이 제시한 올 연말 BOJ 정책금리 예상치 중간값은 0.25%다. 현재 0~0.1%인 정책금리가 연내 한번 정도 더 인상될 것이라는 이야기다. 그 시점은 10월(응답자의 26%) 또는 7월(응답자의 23%)일 것이라는 답변이 많았다. 늦어도 10월까지 금리를 한번 더 올릴 것이라는 의견은 전체의 60%를 차지했다.
연내 두 차례 인상 전망이 전무한 것은 아니지만, 현재로선 기본 시나리오라기보다 위험 시나리오에 가깝다. 모처럼 찾아온 임금과 물가 상승의 선순환 고리를 망가뜨리지 않기 위해 BOJ는 어느 때보다 신중을 기할 테고 구멍난 재정이 통화정책에 가하는 제약 또한 무시할 수 없어서다.
BOJ의 연내 추가 금리인상 시점에 대해서는 10월 또는 7월이라는 의견이 우세했다. 10월까지 금리를 한번 더 올릴 것이라는 전망은 전체의 60%를 나타냈다. [사진=블룸버그] |
다만 BOJ의 굼뜬 행보가 나중에 금리를 더 급히 올려야하는 상황을 불러올 위험도 배제할 수 없다. 최근의 미국과 중국 경제의 전개는 그 위험을 키우고 있다.
중국 경제는 3월 PMI가 보여주듯 턴어라운드 신호를 보내고 있다. 미국 경제는 제조업 회복세까지 장착해 더 견고해졌다. 유럽의 제조업 경기도 시차를 두고 동참하면 유가와 경기민감 금속 등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탄력적 오름세를 연출할 수 있다. 이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일본으로 수입되는 경로다.
브렌트 유가(파란색선)와 인베스코 원자재 ETF(보라색선) 추이 [사진=koyfin] |
5. 더딘 연준과 급해진 BOJ가 만날 때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 [사진=블룸버그] |
그렇게 일본의 물가상승 압력이 커지면 이는 실질금리 측면에서 엔 약세 압력을 지속·심화시켜 인플레이션과 엔 약세의 고리를 강화한다. 그 양상이 급해지면 BOJ의 금리인상은 당초 예상보다 더 밭은 호흡으로 진행돼야 할지 모른다. 일본발 쓰나미가 좀 더 일찍 당도하는 시나리오다.
여기에 미국 경제의 노랜딩(No landing) 국면과 끈적한 인플레이션 압력이 지속될 경우 글로벌 국채시장은 `예상보다 더딘 연준의 금리인하`와 `예상보다 빠른 BOJ의 금리인상`의 상호 작용에 대비해야 한다 - 이는 글로벌 시장 금리의 상방 리스크에 해당한다.
설사 BOJ가 자신의 속도를 고수하며 점진적으로 금리를 올린다 해도 미국의 중립금리 상승 추세와 맞물려 글로벌 국채시장의 해수면을 높이는 데 기여하게 된다.
참고로 4월1일 공개된 BOJ의 단칸 서베이에서 일본 기업의 기대 인플레이션은 1년(2.4%)과 3년(2.2%), 5년(2.1%) 전 구간에서 BOJ의 목표치(2%)를 웃돌았다. 뿌리를 내린(Anchored) 기대 인플레이션은 BOJ의 추가 금리인상을 뒷받침한다.
이번 서베이에서 1년뒤 제품 판매가격을 얼마나 인상할 것인가라는 물음에 기업들은 2.7% 인상할 것이라 답했다. 12월말 조사에서 인상폭이 0.1%포인트 커졌다. 3년과 5년 뒤의 판매가격 인상폭 전망치 역시 석달전 보다 0.3%포인트 높아진 4.0%와 4.7%로 집계됐다.
한편 미국 고용시장이 빠르게 냉각되고 소비 둔화가 두드러지면 전술한 위험 경로와는 정반대 흐름이 전개될 것이다. BOJ의 딜레마도 가라앉을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이번주 금요일(4월5일) 미국 노동부가 발표하는 3월 비농업부문 고용 보고서의 무게감이 크다. ISM 제조업 지수에 이어 고용지표가 서프라이즈의 바통을 이어받을 경우 달러-엔 환율은 고비의 152엔을 돌파할 수 있다. 외환시장 개입을 포함해 모든 수단을 열어놓고 있다고 밝힌 일본 재무성과 BOJ도 긴장감을 갖고 지켜볼 것이다.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