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스포츠

임오경·진종오…스포츠 스타의 정치 참여

기사등록 : 2024-04-16 14:3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스포츠에도 이데올로기가 있다. 테니스와 골프가 대표적이다. 유럽 최고 인기 스포츠 중 하나인 테니스는 남녀 상금이 같다. 남자는 5세트, 여자는 3세트 경기를 한다. 인기에서도 큰 차이가 난다. 노동 생산성만 놓고 보면 남자가 역차별을 받는 셈이다. 프랑스의 질 시몽이란 꽤 유명한 선수는 이를 두고 불만을 토로했다가 여성단체로부터 뭇매를 맞은 적이 있다. 양성평등이란 이념적 가치가 시장경제의 자율성을 물리친 경우다. 육상 등 올림픽 스포츠가 대체로 이렇다.

반면 골프는 남녀 상금 규모가 어떨 때는 5배 이상 차이가 난다. 상위권으로 갈수록 상금 편차는 심하다. 1등은 캐딜락이 아니라 자가용 비행기를, 2등은 벤츠를 타는 식이다. 남녀 대회를 주관하는 단체도 나눠져 있다. 테니스를 제외한 프로 스포츠 대부분이 이렇다.

두 종목이 서로 다른 길을 걸은 것은 미국과 유럽의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해석이다. 골프는 영국에서 시작했지만 미국에서 꽃을 피웠다. 민간 주도의 미국 스포츠는 철저하게 자본의 논리를 따랐다. 그게 생존 전략이었다. 이에 비해 클럽이나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해서 국가 주도로 발전한 유럽 스포츠는 상대적으로 이념을 지킬 여유가 있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스포츠 이데올로기란 학문이 있다면 참 흥미로운 주제일 것 같다. 결론부터 말하면 세계 정치사의 흐름과 일맥상통한다. 우리는 미국과 일본에서 스포츠를 받아들였지만 누군가에게 좋아 보이거나, 유리한 것이라면 이것저것 갖다 붙였다. 한국식 수정 민주주의이다.

100억 원 이상 몸값 선수가 탄생한 프로야구엔 아직도 선수 최저 연봉 3000만 원이 존재한다. 이를 높이라고 아우성이다. 프로 선수의 생존권 보장을 위해서란다. 메이저리그 최저 연봉(74만 달러·약 10억 원)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다. 한때는 세계에서 유례가 드문 연봉 인상 상한제와 종신고용제가 있었다. 병역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최동원의 해외진출은 애당초 막혀 있었다. 이에 비해 골프는 여자 시장 규모가 훨씬 크다. 여자 배구 김연경도 막강한 팬덤을 형성하고 있다. 여자가 자본의 논리로 남자를 역전한 희귀 사례다.

스포츠는 그동안 정치인의 '홍보용 카탈로그'로 인식돼온 부분도 있다. 스포츠 마니아로 알려진 윤석열 대통령이 2022년 12월 8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카타르 월드컵 축구대표팀 환영 만찬에서 친필 사인한 유니폼을 주장 손흥민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2.12.08 photo@newspim.com

◆'개념 연예인'은 있어도 '개념 체육인'은 없다?

서론이 길어졌다. 한 분야 일을 오래하다 보면 이런 폐단이 생기는 것 같다. 앞으로 차근차근 풀어가겠지만 스포츠에는 이념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모든 요소가 녹아 있다. 스포츠를 띄엄띄엄 보는 이들은 알지 못하는 세계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에서 체육인의 사회 참여는 아주 제한적이었던 게 사실이다. 체육인은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가졌지만, 경기장 밖에선 무능하다는 편견이 가장 큰 이유일 듯하다.

이명박 정부 때 등장해 보수와 진보를 가리지 않고 계승된 학교체육진흥법은 운동선수에게 학습권 보장, 최저학력제 적용, 주말리그제 시행을 강요했다. 착해 보이는 말이긴 해도 방향을 잘못 잡은 제도였다. 이는 미적분을 모르는 1%의 운동기계는 문제인 반면 턱걸이 한 개도 힘든 99%의 공부기계는 괜찮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또 워낙에 이념 대립이 첨예하다 보니 '개념 연예인'은 있어도 '개념 체육인'은 들어보지 못했다. 물론 개념 연예인은 한 쪽 진영만 일컫는 말이니 적절한 비유가 아니긴 하다.

이런 환경 속에서 그나마 손에 꼽을 정도였던 체육인의 정치 참여는 스타의 이름값을 활용한 전시용 마케팅이 대부분이었다.

역도 선수 황호동은 1973년 9대 총선에서 신민당 소속으로 전남 장흥·강진·영암·완도군 국회의원에 당선됐다는 기록이 있지만 이 때는 호랑이 담배 피던 시절이니 그냥 넘어가자. 황 의원은 현직 시절인 1974년 테헤란 아시안게임에서 슈퍼헤비급 은메달을 따기도 했다.

이후 프로야구 원년인 1982년 한국시리즈 초대 MVP에 오른 김유동과 천하장사 이만기가 당적을 바꿔가며 여러 차례 도전했지만 당시만 해도 국민들은 연예인에겐 표를 줘도 체육인에겐 그러지 않았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이에리사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공동위원장(오른쪽)이 지난해 12월 2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위원회 회의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대화하고 있다. 2023.12.20 yooksa@newspim.com

세상이 바뀐 뒤 가장 먼저 지역구에서 금배지를 단 이는 훤칠한 외모를 자랑하는 태권도 영웅 문대성이었다. 2004년 아테네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그는 불과 36세 때인 2012년 19대 총선 때 부산 사하갑에서 당선돼 비례대표인 왕년의 탁구스타 이에리사와 함께 새누리당 국회의원이 됐다.

이어 바둑황제 조훈현은 2016년 20대 총선 때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 감독으로 윤성빈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이끈 이용은 2020년 21대 총선 때 미래한국당 비례대표로 국회에 입성했다.

이들은 자신의 분야에선 나름 왕성한 의정활동을 펼쳤지만 현실 정치의 벽을 넘어 영향력 있는 정치인으로 성장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이들에게 미안한 말이긴 하지만 아직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어쩌다 정치인'이 된 탓이라는 게 냉정한 평가일 것이다.

◆체육인이 현실 정치에서 목소리를 높이는 시대

제22대 4·10 총선에선 이전과는 색깔이 확연히 다른 스포츠 스타 정치인이 두 명이나 탄생해 눈길을 끈다. 경기 광명갑에서 재선에 성공한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과 국민의미래 비례대표 진종오 당선인이 그들이다.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스핌]

핸드볼 우생순 신화의 주역 임오경 의원은 체육인 출신으로는 처음으로 재선과 지역구 2선에 성공했다. 그는 앞의 의원들과는 달리 원내대변인으로서 강성 스피커의 역할을 도맡고 있다. 처음엔 스포츠 스타로 스카우트됐겠지만 자신의 영역을 빠르게 확장해가고 있는 중이다.

사격 올림픽 3연패와 6관왕(금 4개, 은 2개)에 빛나는 진종오 당선인은 이미 정계 입문 전에 커밍아웃을 했다. 그는 2022년 대통령선거 때는 윤석열 대통령을 지지하는 체육인들의 선봉에 섰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선수위원에 뜻을 품기도 했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진종오 국민의미래 국회의원 당선인이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국민의미래 당선자 총회에 참석했다. 2024.04.16 leehs@newspim.com

앞서 실업팀 농구선수 출신 김영주 국회부의장은 5선을 했고 고용노동부장관까지 지냈지만, 그는 선수로서 이력보다는 은퇴 후 20여 년간 해온 금융노조 활동을 인정받아 정계에 입문한 경우여서 이들과는 구분을 했다.

이와 함께 이에리사 전 의원은 지난해 말 국가스포츠정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이란 중책을 맡아 눈길을 끈다. 이 위원회는 우리나라 스포츠 정책을 총괄 조정하는 컨트롤 타워이다. 국무총리가 공동위원장이니 그 무게를 실감할 수 있다. 이에리사 위원장은 김영주 의원과는 달리 은퇴 후에도 지도자, 용인대 교수, 태릉선수촌장 등 스포츠 외길을 걸어왔다.

체육인의 정치 참여는 결코 나쁜 게 아니다. 보수와 진보 양쪽으로 나뉘어 서로 지지고 볶고 싸워도 상관없다. 오히려 그동안 너무 미미해서 아쉬움이 들 정도다. 체육인이 목소리를 크게 내는 시대가 오면 그동안 소홀히 다룬 스포츠 관련 정책과 법은 어느새 바로잡힐 수도 있을 것이다.

zangpab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