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지자체

정부, 홍수 예방에 AI 도입…CCTV 8000대 설치해 선제적 대응

기사등록 : 2024-04-29 15:4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지자체, 관할·인근 하천 상황 CCTV 통해 모니터링
내년부터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하천 CCTV 연계
홍수예보체계에 AI 적극 활용…특보발령지점 3배↑
흙·장비 준비한 '방재 스테이션' 낙동강·영산강 설치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환경부가 지방자치단체 등과 함께 홍수 대응 준비상황을 최종 점검하는 '홍수안전주간'이 역대 처음으로 시작됐다.

홍수대응계획 논의 및 합동훈련 등이 오는 5월 3일까지 이어질 예정인 가운데, 올해 새롭게 등장한 '국가하천 폐쇄회로(CCTV) 모니터링 시스템'이 주목된다.

29일 환경부에 따르면 국가하천 CCTV 모니터링 시스템은 전국 국가하천 73개에 사각지대가 없도록 CCTV를 설치한 사업이다. 국가하천 인근 지점 2781곳에 지점당 3대씩 총 8343개가 설치돼 올해 홍수기 모니터링 시스템 가동을 앞두고 있다.

올 10월과 내년 국가하천으로 승격될 예정인 지방하천 20곳에도 CCTV를 설치, 홍수기를 대비하고 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

국가하천의 위치 [자료=환경부] 2024.04.29 sheep@newspim.com

국가하천의 길이는 전체 하천구간과 비교하면 짧은 편이지만, 국민들은 지방하천보다 국가하천 인근에 모여 사는 경우가 많다.

환경부 관계자는 "전국하천 구간이 3만2000㎞ 정도고, 이 중 지방하천은 약 2만5000㎞, 국가하천은 3600㎞ 수준이다"면서도 "길이로 보면 (CCTV 설치해 모니터링하는) 국가하천이 짧아 보이지만 사람들이 사는 곳은 대부분 국가하천에 해당한다. (사람들이) 사는 곳은 다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지자체는 CCTV 화면을 통해 관할 구역과 인근 하천의 범람 정도를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복잡한 단계를 거쳐 중앙부처에서 전달되는 예·경보에만 의존하지 않고, 현장을 손쉽게 살피면서 발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이 생긴 셈이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도 전국 단위로는 올해 홍수대응 현장에서 처음 활용된다. 시스템을 완전 구축하기 위한 단계가 남았지만, 시범운영 격으로 운영된다.

디지털 트윈은 가상세계에 실제 사물을 3D 모델로 구현해, 실제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 모의 실험이 가능하도록 만든 기술이다. 장마철 댐 방류를 결정할 때 디지털 트윈 플랫폼을 통해 하천의 수위가 얼마나 높아질지 등을 예상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 플랫폼과 하천 CCTV가 연계된 모습(예상 이미지). [사진=환경부] 2024.04.29 sheep@newspim.com

또 내년부터는 디지털 트윈 플랫폼에 하천 인근 CCTV도 연계된다. CCTV 화면을 인공지능(AI)이 지속 분석하다가 홍수기 통제구역에 사람이나 자동차 등이 진입할 경우 이상 신호를 감지, 자동으로 알림을 띄우는 방식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홍수예보체계에는 AI가 적극 도입된다. 홍수주의보나 경보 등을 발령하는 지점은 기존 75곳에서 223곳으로 3배가량 증가했다. 홍수특보지점 확대는 주로 지방하천 위주로 진행돼, 기존 12곳에서 129곳으로 늘었다.

AI 홍수예보체계는 AI를 활용해 강수량이나 댐 방류량 등을 자동 분석하고 물리 모형으로 검증한 뒤 특보를 발령하는 체계다. 이 같은 상황 분석은 사람이 수동으로 진행하면 5~10분 정도 걸리지만 AI를 활용하면 3초로 크게 단축된다.

또 정부는 그간 예보의 정확성보다 전달방식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 지자체 재난 담당 공무원 대상으로 음성알림서비스(VMS)와 재난안전통신망도 새로 도입했다. VMS는 지자체의 재난관리 총괄 책임자인 부단체장 대상으로 운영되는 알림 서비스다.

이 환경부 관계자는 "VMS는 부단체장이 받을 때까지 전화가 계속 간다"며 "재난안전통신망은 재난 담당 공무원들이 의무적으로 항상 켜놓고 예·경보를 수신받는 체계"라고 설명했다.

경남 의령군 낙동강유역의 홍수 방재 스테이션 위치도. [사진=환경부] 2024.04.29 sheep@newspim.com

'홍수 방재 스테이션'도 올해 처음 구축된다. 방재 스테이션은 수해가 발생했을 때 빠른 복구가 가능하도록 약 3만㎥의 부지에 흙, 톤 마대, PE방호벽 등 공사용 물품을 마련한 공간이다. 현재 낙동강유역의 경남 의령군과 영산강유역 일대에 설치를 앞두고 있다.

전문가들은 신기술을 활용한 예·경보 체계 보강도 중요하지만 최근 문제가 되는 도시침수 예방을 위한 사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채진 목원대 소방안전학부 교수는 "도시침수는 배수가 되지 않는 상황에서 순식간에 물이 차올라 발생한다. 배수로 관리를 사전에 해야 한다"며 "터널 등에서는 물이 차올랐을 때 차량 진입을 막을 수 있도록 차단봉과 같은 장치를 먼저 설치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의 지적처럼 빗물받이 점검 및 교체 등이 포함된 사업 예산은 대폭 증가했다. 하수관로정비 예산은 지난해 1541억원, 올해 3256억원으로 2배가량 늘었다. 다른 환경부 관계자도 "담배꽁초가 많이 버려지는 강남역 등은 일주일 단위로도 청소해야 한다"며 "철저하고 지속적인 하수관로 관리가 필요하다"고 동의했다.

sheep@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