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7-10 16:40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중국산 저가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가 전세계 곳곳에서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산 철강제품들이 국내 산업도 흔들고 있다. 국내 철강업계의 움직임도 바빠졌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과 EU 등 주요 선진국 뿐 아니라 중남미와 아시아 등에서도 중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수입 규제가 이뤄지거나 검토 중이다. 브라질과 멕시코, 칠레 등 중남미 국가에 이어 대만이 반덤핑 규제를 준비 중이며, 베트남과 인도 등 아시아에서도 중국산 철강을 상대로 반덤핑 조사에 착수했다.
국내 철강사에서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 움직임이 진행 중이다. 현대제철은 중국산 철강제품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위해 피해 조사를 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관세 부과를 추진 중이며 산업부와 지속적으로 조율 중에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현대제철이 올해 내에는 중국산 후판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요청할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산 열연제품을 수입해 가공해 재수출하는 국내 철강사들이 저렴한 중국산 수입재를 규제하는 것에 대해 반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정부가 반덤핑 제소 절차에 들어갔을 때 철강업계의 의견이 분분하면 실제 규제에 이르기 어렵다는 업계 분석이다.
현행법상 덤핑 조사 신청을 위해서는 해당 제품 국내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는 사업자나 반덤핑 조사에 대해 찬반 의사를 밝힌 국내 생산자 중 50%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한다.
업계에서는 중국산 제품에 대한 반덤핑제소가 급물살을 탈 수 있다는 전망도 있다. 국내 생산의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포스코는 현재 현대제철의 반덤핑 제소 절차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포스코는 이날도 중국산 철강제에 대한 반덤핑 제소에 대해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포스코 역시 중국산 수입재의 범람에 우려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반덤핑 제소에 참여할 가능성이 있다. 여기에 포스코는 중국산 수입재의 문제에 대해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어 상황에 따라 반덤핑 규제로 이어질 수도 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