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07-12 17:32
[대전=뉴스핌] 오영균 기자 = 이장우 대전시장이 대전과 인근 지역 발전을 위한 '시군 단체장 협의체'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대전을 거점으로 한 광역 경제권이 공동의 현안을 조율하고 해결하면서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지난 9일 <뉴스핌>과 가진 '민선8기 취임 2주년 인터뷰'에서 과거 대전과 인근 시군 단체장 협의체인 'G9 시군 협의체'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대전시는 지난 2007년 대전시와 인근 8개 시군 등 9개 자치단체장 간 협력 회의인 'G9 시군 협의체'를 결성한 바 있다. 당시 동구청장이던 이장우 시장도 'G9'에 적극 나섰다.
이 같은 '시군 단체장 협의체'는 인구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광역권의 지자체들이 한 목소리로 국비를 확보해 공동의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동력이 되고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면서 국토균형발전을 이끌어 낼수 있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이 시장은 미국 시애틀 사례를 들며 '광역 경제권'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이어 "세종시가 40만이라고 하지만 사실상 대전 경제규모와 비교할 수준은 아니다"며 "(세종시는) 사실상 '광역 대전시'가 아니겠느냐"고 덧붙였다.
지역 정계의 반응도 무척 긍정적이다.
충청권 한 원로 정치인은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도시와의 협력 구축은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해야할 당연 과제"라며 "충청권과 나아가 호남, 인접한 강원권까지 단체장 간 연대해 비수도권 문제를 한 목소리로 내야한다"고 응원했다.
그러면서 "목소리 파워가 높아지면 자연스럽게 정치적 이목도 이장우 대전시장으로 쏠리게 될 것"이라며 강조했다.
지역 정계에서는 경제·행정적 외연 확장 뿐만 아니라 또 단체장 간 협의체이다보니 행정적 결합을 추구하는 '메가시티' 보다 무겁지 않게 실체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충청기반 정당' 창당을 주창하고 있는 이 시장이 인근 시군 단체장과 유기적인 협력체를 구성할 경우, 이 시장을 중심으로 또 다른 세력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gyun5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