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전국적으로 전기차 화재가 이어지면서 '중국산 배터리'를 넘어 전기차에 대한 공포감이 고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각 완성차 메이커는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국적 공개에 나섰다. 완성차의 전기차 판매 실적 악화 우려가 줄어들 수 있을지 주목된다.
19일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현대자동차, 벤츠 등을 포함한 국내 총 21개 브랜드의 배터리 국적이 공개됐다. 공개된 차량 가운데 43종(62.3%)은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3사의 제품을 탑재했다. 현대차의 아이오닉6, 아이오닉5 시리즈, 캐스퍼, 코나 등과 기아의 EV3, EV6 등에는 국내 배터리가 탑재됐다.
중국 배터리인 CATL과 파라시스 등을 사용한 17종(24.6%)의 경우 CATL은 28개 차종·8개사에 파라시스는 5개 차종에 적용됐다. 화재가 났던 벤츠 전기차에는 중국 파라시스사의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완성차 업계 우려 속에 '전기차' 예정대로 출시…판매 타격 우려
이번 대규모 화재에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가 들어간 것을 확인한 소비자들은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거부감을 강하게 드러냈다. 중국산 배터리가 들어간 한 전기차를 소유하고 있는 한 소비자는 "차량을 구매할 때도 중국산 배터리가 들어간 것을 알고 사긴 했지만 다음 전기차를 살 땐 국산을 고려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완성차 업체들은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한 신차여도 일정대로 출시한다는 입장이다. 다만 판매 실적에 대한 영향은 어느정도 불가피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이후 가장 먼저 출시된 신차는 폴스타코리아의 쿠페형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폴스타 4'다. 폴스타 4는 중국 CATL의 100㎾h(킬로와트시) 니켈·코발트·망간(NCM) 배터리를 탑재했다. 폴스타 4 출시 당시 현장에서도 많은 질문이 배터리 안정성을 겨냥해 쏟아졌다.
폴스타 측은 LG에너지솔루션과 CATL 배터리가 병행 탑재되는 폴스타2도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 중인 16만대의 차량 중 화재 이력은 '0건'이라며 적극 설명에 나섰다. 폴스타 관계자는 "위축된 전기차 시장에서 출시한 폴스타4지만 뛰어난 상품성과 가격 경쟁력으로 계약건수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포르쉐의 전기차 타이칸도 이번주 예정대로 공개될 예정이다. 타이칸은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지프는 9월 4일 브랜드 첫 순수 전기 SUV 어벤저를 예정대로 출시할 예정이다. 어벤저에는 CATL 배터리가 탑재됐다. 이어 메르세데스-벤츠의 G바겐 전기차 버전 '디 올 뉴 G 580 위드 EQ 테크놀로지', BMW의 '뉴 올 일렉트릭 컨트리맨' 역시 올해 내 출시될 예정이다.
BMW의 iX2는 아직까지 출시 일정을 정하지 못한 상태다. GM 한국사업장은 리릭과 더불어 이쿼녹스 EV를 들여올 예정이었으나 미국 본사의 생산 축소에 따라 내년 이후로 출시를 미룰 가능성이 크다.
◆중국산 넘어 전기차 전체 혐오 번질까…기출시된 차량도 영향권
완성차 입장에서도 신차 출시 계획을 쉽게 조정하긴 어렵기 때문에 이와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풀이된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에 대한 적극적인 설명보다는 이번 화재와 같은 사건들이 전기차에 대한 거부감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품에 대한 가치를 설명하기 위해 노력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일각에서는 국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완성차가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국내 판매 중인 전차량에 국내산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는 완성차는 아우디, 폭스바겐, 볼보, 포르쉐 등이다.
하지만 업계는 이번 사건이 전기차 전체에 대한 혐오감으로 번질까 우려하고 있다. 이미 출시된 차량 역시 경계를 늦출 순 없다. 가장 최근에 출시된 전기차는 기아의 전기차 EV3와 현대차의 캐스퍼 일렉트릭이다. EV3는 지난달 고객 인도를 시작했고 현대차는 사전계약을 받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관찰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공포심이 커질수록 피해는 완성차 업체 전부가 입게 된다"며 "정부가 전기차와 배터리 제조사 간의 다리가 되어서 전기차 화재가 일어난 원인과, 2차적으로 확산된 원인을 분석해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