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오피니언

[기고] 노벨과학상 수상자들의 한 목소리

기사등록 : 2024-10-21 08: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하민회 (이미지21대표, 미래기술문화연구원장)

과학연구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2024년 노벨 과학상은 AI를 주목했다.

노벨물리학상은 컴퓨터가 인간 뇌처럼 학습하는 인공신경망을 개발하고 딥러닝 개념을 고안한 AI 선구자들(좁 홉필드, 제프리 힌턴 교수)에게 수여됐으며, 노벨화학상 역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AI 도구 '알파폴드'를 개발한 구글 딥 마인드의 연구진(데이비드 베이커 교수, 데미스 허사비스 CEO, 존 점퍼)에게 돌아갔다.

'AI의 아버지'(제프리 힌턴)과 '알파고의 아버지' (데미스 허사비스)가 둘 다 수상했으니 AI가 노벨을 휩쓸었다는 말이 나올 만도 하다.

하민회 이미지21 대표.

그 동안 기초과학에 중점을 뒀던 노벨상이 AI연구자들에게 대거 수여된 것은 다소 파격적이다. 하지만 노벨상의 심사기준이 위력적인 혁신성 못지 않게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이번 수상은 AI가 과학 연구의 도구를 넘어 난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기초과학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I는 기존 연구 방식의 한계를 뛰어넘는 전혀 다른 차원의 돌파구가 되고 있다.

예컨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는 생명과학 분야에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 50년간 통계학적 방법론, 분자 역학 수식 등의 방법으로도 풀지 못한 난제였던 단백질 예측 구조를 AI를 통해 몇 시간 만에 예측해낸다. 어떤 질병이건 병원체는 아미노산, 핵산 등 생체분자로 이뤄졌단 점에서 2억개 이상의 단백질 구조를 예측할 수 있는 알파폴드는 범용적인 분석이 가능하다. 신약 개발은 물론 항생제 내성 연구, 플라스틱 분해 효소 등 응용과학에도 폭 넓은 활용이 가능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2024년 노벨 화학상 수상자로 선정된 데이비드 베이커 워싱턴대 교수와 데미스 허사비스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 존 점퍼 딥마인드 연구원(왼쪽부터). 2024.10.09 ihjang67@newspim.com
[노벨위원회 =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존 홈필드(왼쪽) 교수와 제프리 힌턴 교수 ihjang67@newspim.com

AI는 더 이상 한 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과학의 경계를 허물어 물리학, 생물학, 화학, 신경과학, 심리학을 결합한 학제 간 연구로 인류가 직면한 기후온난화, 전염병, 경기침체 등의 난제를 해결할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하지만 AI의 잠재력이 큰 만큼 경계의 목소리도 높다. 특히 수상자들의 소감이 눈길을 끈다. AI 분야에서 선구자로 꼽히는 이들은 한 목소리로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을 우려했다.

AI 모델의 기초를 확립한 홉 필드교수는 "AI 시스템은 완벽한 경이로움으로 보이지만, 그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매우 불안하다"며 "AI와 전 세계 모든 것에 대한 정보의 흐름이 결합하면 알고리즘에 의해 통제되는 세상이 될 우려"가 있음을 경고했다.

제프리 힌턴 교수도 인간보다 더 지적인 AI 시스템에 의한 인간의 통제권 상실을 우려했고 알파폴드를 만든 데미스 허사비스 역시 "AI는 이로운 일을 할 수 있는 엄청난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해를 끼치는 데에도 쓰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 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2024년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한 대런 에이스모글루 MIT 교수, 사이먼 존슨 MIT 교수, 제임스 로빈슨 시카고대 교수(왼쪽부터) 2024.10.14. ihjang67@newspim.com

AI에 대한 과신을 경계하라는 주장도 나왔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사이먼 존슨 MIT 교수와 대론 애스모글루 교수는 "AI의 생산성 향상이 과대 포장됐다"며 향후 10년간 AI에 의해 대체되거나 적어도 강력히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직업은 전체의 5%에 불과할 것이라 추산했다. AI에 지나친 기대를 갖기 보다는 AI의 발전이 소수의 특권층에게만 혜택을 주는 결과를 낳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AI가 본격적으로 우리 일상에 들어온 지 채 5년도 지나지 않았다. AI가 산업혁명에 비견될 정도로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전망과 기대가 팽배하지만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AI 기술의 발전 방향과 결과를 예측하기는 결코 쉽지 않다.

수상자들은 AI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혜택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이를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발전시켜야 한다는 점을 재차 강조한다. AI는 양날의 검인 만큼 AI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잠재적인 위험성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다.

수상자들의 소감은 하나 같이 '사람'의 역할에 방점을 찍는다.

허사비스는 "AI를 항상 올바른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면 과학자들을 돕는 궁극적인 도구가 될 수 있다"며 "AI는 올바른 질문이 무엇인지, 올바른 추측은 또 무엇인지 알아낼 수 없기 때문에 이 모든 것은 과학자에게서 나와야 한다"며 과학자의 역할을 강조했다.

애스모글루 교수는 타임지와의 인터뷰에서 "AI는 날씨처럼 예측해야 하는 게 아닌, 우리의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고 했다.

앱타그룹 의약사업부의 연구실 [사진=앱타그룹]

결국 AI를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만들고, 사용하는 건 모두 '사람'에게 달렸다는 것.

AI 기술이라는 경이로운 도구의 등장으로 과학 연구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지만, 여전히 창의적인 아이디어 제시와 연구 결과의 검증은 인간의 몫이다.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 단순히 AI를 다루는 기술적 능력뿐 아니라, AI의 결과를 해석하고 새로운 가설을 세울 수 있는 통찰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

"인공지능은 독립적인 행위자입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만들었던 어떤 기술보다도 통제하기 어려울 겁니다."

유발 하라리는 신간 <넥서스> 를 통해 AI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강력한 자정 장치 개발하고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윤리적 안전적 측면이 개발보다 우선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AI 기술에 대한 글로벌 차원의 감독과 협력도 강조한다. AI를 관찰하고 이해하며, 각국 정부에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AI 전문 국제기구의 설립을 제안한다. 특정 법규 제정보다는 AI 기술을 잘 이해하고 새로운 기술혁신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규제기관이 절실하다는 점도 짚었다.

"인류는 이 신기술을 안전하고 윤리적으로 인류의 최대이익을 위해 사용하기 위한 책임을 공동으로 지고 있다" 엘런 문스 노벨 물리학위원회 의장의 말이 묵직하게 다가온다. 

유발 하라리 교수 [사진=블룸버그TV 영상 갈무리]

◇하민회 이미지21대표(미래기술문화연구원장) =△경영 컨설턴트, AI전략전문가△ ㈜이미지21대표 △경영학 박사 (HRD)△서울과학종합대학원 인공지능전략 석사△핀란드 ALTO 대학 MBA △상명대예술경영대학원 비주얼 저널리즘 석사 △한국외대 및 교육대학원 졸업 △경제지 및 전문지 칼럼니스트 △SERI CEO 이미지리더십 패널 △KBS, TBS, OBS, CBS 등 방송 패널 △YouTube <책사이> 진행 중 △저서: 쏘셜력 날개를 달다 (2016), 위미니지먼트로 경쟁하라(2008), 이미지리더십(2005), 포토에세이 바라나시 (2007) 등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