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미국 상무부가 고대역폭메모리(HBM)와 첨단 반도체 장비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를 발표하면서 삼성전자를 비롯한 국내 반도체업계에 미칠 영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만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미국 엔비디아와 협상 중인 HBM 공급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삼성전자 36GB HBM3E 12H D램. [사진=삼성전자] |
미국 상무부는 2일(현지시간) HBM과 24개의 추가 반도체 제조 및 3가지 소프트웨어 도구에 대한 제한 조치를 발표했다. 이번 제한 조치에는 인공지능(AI)에 사용되는 HBM 2 이상이 포함됐다. 이에 HBM 2를 중국에 공급하고 있는 삼성전자의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HBM 시장의 점유율은 SK하이닉스가 53%로 1위, 삼성전자가 38%로 2위에 올랐다. 3위는 9%인 마이크론이었다.
이중 SK하이닉스의 경우 HBM 거의 전량을 미국 엔비디아에 공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에 따르면 지난 3분기 중 5세대인 HBM3E의 출하량은 4세대인 HBM3을 넘어섰다. 5세대 HBM인 HBM3E가 주력제품이 된 것이다.
블룸버그 산하 연구기관인 블룸버그인텔리전스(BI) 서실리아 찬 애널리스트는 보고서에서 'SK하이닉스의 HBM 생산 물량은 내년까지 완판됐으며 내년 HBM 부문 매출은 250억 달러(약 35조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SK하이닉스의 HBM 매출은 대부분 미국 빅테크에서 발생해 이번 대중 반도체 수출 규제 조치에 큰 영향을 받는다고 보기는 어렵다.
반면 삼성전자의 경우 HBM 매출의 20% 정도가 중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로이터통신은 삼성전자의 중국 HBM 매출이 30% 수준으로 이번 조치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지만 실제 삼성전자의 중국 내 HBM 매출은 그보다 적은 20%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대중국 수출 제한 조치보다 HBM 경쟁력 회복이 더욱 급선무라는 관측도 나온다.
최근 조직개편을 통해 전영현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장 부회장이 대표이사를 맡은 것도 HBM 기술 개발에 사활을 걸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삼성전자는 HBM 경쟁력 회복을 위한 엔비디아 납품 여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통해 SK하이닉스에 내준 HBM 주도권을 탈환한다는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5세대 HBM3E 8단과 12단 제품 납품 협상을 진행 중이며 내년에는 6세대 HBM4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에 HBM 5세대 제품을 납품하게 될 경우 자연스레 삼성전자 HBM 매출 비중에서 5세대 매출의 비중이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시장에 공급하고 있는 HBM 2의 매출을 만회할 수 있다는 의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최근 3분기 경영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4분기에는 HBM3E 매출 비중이 전체 HBM 사업의 50% 정도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주요 고객사의 퀄 테스트 과정상 중요한 단계를 완료하는 유의미한 진전을 이뤘고 4분기 중 판매가 확대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실제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삼성전자 5세대 HBM 8단과 12단 제품을 테스트하고 있다. 납품 승인을 위해 최대한 빨리 작업 중"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삼성전자의 엔비디아 HBM 공급이 이뤄질 경우 이번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의 영향도 줄어들 전망이다. 이번 조치가 중국의 HBM 자립을 촉진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이번 미국 상무부 조치에 대해 "이번 조치를 면밀히 검토 중이며 관련 기관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이번 조치가 SK하이닉스, 삼성전자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미국의 조치에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이 적용돼 국내 기업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미국 규정이 허용하는 수출방식으로 전환해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오는 4일 반도체장비 업계와 간담회를 열어 이번 미국 조치의 내용을 공유하고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 무역안보관리원(KOSTI)에 '수출통제 상담창구'를 개설해 운영할 예정이다. 향후 중국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수출통제 제도 설명회 등도 개최한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