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4-12-17 14:31
[서울=뉴스핌] 조준경 기자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가운데, 의료계는 정부의 내년도 의대증원 정책 중단을 위한 막판 스퍼트를 올리는 모양새다. 그러나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공식적인 소통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최운창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전라도의사회장)은 17일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우리가 먼저 사정해 만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정책을 진행해온 당사자들의 진심어린 사과가 먼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미 지난 13일 전국 39개 의대가 내년도 수시모집 인원 3118명을 발표하며 정부 증원안에 따른 내년 모집인원(4610명)의 67%의 모집율을 달성했다. 기존 정원이었던 3058명을 넘어선 수치다. 또 정시 발표도 이달 말로 다가온 만큼 의료계에게 주어진 시간이 촉박한 상황이다.
그러나 의협 비대위 차원에서 아직까지 한 권한대행과의 접선을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최 비대위원은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과 박민수 차관의 공개적 사과가 필요하다"고 특정 정부 관료들을 지목했다.
그는 의대증원 정책으로 인해 올해 의사 3천 명과 전문의 3천 명이 배출되지 못했다며, 증원안에 따라 내년 신입생 모집이 완료되면 올해초 동맹휴학을 개시한 기존 1학년들과 함께 7500여명이 넘는 인원이 교육해야 된다고 우려했다.
최 비대위원은 "내년도 의대증원 규모를 줄일 방법은 지난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된 인원들을 뽑지 않거나, 아직 시간이 있으니 정시 규모를 조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고 주장했다.
오는 22일로 예고된 전국의사대표자대회에 대해서는 "교수, 봉직의, 개원의, 전공의, 의대생 등 각 직역들이 현장에서 모여 향후 대정부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며 "당일 토론을 통해 결의문을 작성할 것이다. 현재 정해진 메시지는 없다"고 밝혔다.
calebca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