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등록 : 2025-03-24 14:39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세계 최초의 패시브 TDF(Target Date Fund) ETF(상장지수펀드) 'TIGER TDF 2045 ETF'를 선보였다.
이 상품은 S&P 500 지수를 기반으로 한 장기 투자 전략과 투명성을 강조하며, 특히 30~40대 투자자의 노후 준비를 위한 간편하고 효율적인 투자 솔루션으로 설계됐다.
그는 "TIGER TDF 2045는 굉장히 단순하지만 투자자의 노후를 책임질 수 있는 강력한 원티켓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며 자신감을 드러냈다.
타이거 TDF 2045 ETF는 S&P500과 코리아타겟데이트2045 인덱스를 추종하는 패시브형 ETF로, 전 세계 주식 시장의 약 70%를 차지하는 S&P500에 약 80%를 투자하고 나머지 20%는 안정적인 국내 채권으로 구성된다.
2025년 기준 위험자산 비중은 79%에서 시작해 2045년까지 점진적으로 39%로 줄어드는 글라이드 패스(Glide Path)를 적용, 투자자의 생애 주기와 S&P 500의 특성을 모두 고려한 설계를 특징으로 한다.
기존 TDF ETF가 액티브 운용으로 예측이 어렵고 비용이 높았던 점을 개선, 정해진 포트폴리오를 매일 공개하며 저비용 구조를 실현했다.
윤병호 본부장은 "과거 20년 시뮬레이션 결과 1억원 투자 시 4억4000만원의 수익을 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운용 보수는 약 0.19%로 책정됐으며, 규모 확대 시 실물 채권 운용으로 비용을 더 줄일 계획이다. 이 상품은 퇴직연금 계좌에서 안전자산으로 분류돼 위험자산 비중을 최대 93%까지 늘릴 수 있어, 장기 투자와 자산 극대화를 동시에 노리는 투자자에게 적합하다.
윤 본부장은 뉴욕 증시 변동성이 커지면 상품 리스크도 높아질 우려가 있다는 질문에 "저희 상품은 패시브 운용으로 장기 투자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단기 조정 시 채권 비중을 조기 확대할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
다른 빈티지 시점의 TDF ETF 출시 계획과 관련된 물음에는 "구체적인 빈티지는 정하지 않았지만, 은퇴 시기에 맞춰 다양한 투자자를 커버할 수 있는 라인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최근 박현주 미래에셋 회장이 IRP 유입 속도가 느리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해서는 "시의적절한 패시브 TDF 솔루션이 은행 및 증권사 IRP 유입을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