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 |
◆ '뜨는 별'…박근혜, 진영, 홍준표, 한광옥, 안철수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문재인 민주통합당 전 대선후보를 108만여 표차로 따돌리면서 명실상부 대한민국 권력의 정점에 올라섰다. 민주화 이후 최초의 과반 당선 대통령이자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대통령, 박정희 전 대통령과 함께 부녀 대통령 등 여러 타이틀도 거머쥐었다. "이번 대선에서 국민의 신뢰를 받지 못한다면 정치 여정을 마감하겠다"며 의원직 사퇴의 배수진을 치고 대권에 도전한 그는 이제 향후 5년의 성과에 따라 자신의 정치 여생을 마무리하게 됐다.
진영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부위원장도 인수위 구성 과정에서 일약 박 당선인의 정책 총괄을 담당할 인사로 부상했다. 김용준 인수위원장이 실무를 챙기기 어렵다는 점에서 민생을 제1의 국정기치로 내걸고 있는 박 당선인은 진 부위원장의 실무적 도움을 크게 필요로 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이한구 원내대표와 짝을 이뤄 쟁책위의장으로 원내를 이끌고 있다는 점에서도 차기 정부에서의 당정청 관계에서도 주도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모래시계 검사'로 유명한 홍준표 전 의원은 지난 4월 총선에서 낙선한 지 9개월여만에 경남도지사로 화려하게 복귀했다. 민병두 민주통합당 의원과의 동대문을 '리턴매치'에서 패배, 향후 정치적 행보가 불투명했었지만, 김두관 전 경남도지사가 민주당 당내 대선 경선에 나서면서 뜻하지 않게 도지사 보궐선거의 기회를 얻었다. 중앙 정치무대에서는 다소 빗겨나 있지만, (한나라당)당 당 대표를 역임한 친이계 PK(부산경남) 현역 도지사로서 박근혜 시대에 중앙 정치와 어떤 조화를 이룰지 주목된다. 벌써부터 경남도청 마산 이전 등 그가 내세운 공약들이 논란을 부르고 있다.
이 외에도 여권에서는 김무성 전 선대위 총괄선거대책본부장과 이학재 비서실장을 '뜬 정치인'에서 빼놓을 수 없다. 이들은 선거에서 중추적 역할을 했음에도 스스로 2선으로 후퇴, 차기 박근혜 정권에서 몸값을 더욱 올렸다는 평가를 받는다. 동시에 동교계 핵심 인사였던 한광옥 인수위원회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도 민주당 공천 탈락과 총선 낙선의 패배를 씻고 진영을 바꿔 대통합의 전도사로 정치권 전면에 재등장했다.
정권 교체에는 실패했지만, 야권을 통틀어 가장 핵심인물로 떠오르는 이는 안철수 전 무소속 대선후보다. 새 정치의 기치를 내걸고 정치권에 호출된 그는 문 전 후보와의 후보단일화 과정에서 대선 후보직을 사퇴했지만, 박근혜 당선자의 대세론을 무너트리는 등 기존 정치권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특히 야권이 대선에서 패배하고 민주당이 지리멸렬한 모습을 보임에 따라 향후 있을 야권발 정권개편의 핵으로 여전히 잠복해 있는 상태다. 미국에서 새 정치에 대한 구상을 하면서 정계 복귀를 저울질하고 있는 안 전 후보는 여야를 포함해 기존 정치권에 대항할 가장 강력한 대항마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 '지는 별'…문재인, 이해찬, 박지원, 이정희, 이명박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28일 향후 국정운영 과정에서 문재인 전 민주통합당 대선후보와 공통된 공약들을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문 전 후보는 대선 '패장'이라는 멍에를 떠앉으면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다. 본래 정치에 뜻이 없었고 초야에 묻혀살다가 '운명'처럼 정치권에 불려 나왔기에 그의 향후 정치적 미래 역시 불투명한 상황이다. 당내에서는 그의 의원직 사퇴 촉구 목소리가 불거지는 등 거세지는 대선 책임론 속에서 정치적 영향력이 급속히 축소될 전망이다. 특히 정치권에 입문한 지 얼마 안 되는 그를 단박에 대선 후보로 옹립한 친노(노무현) 세력에 대한 대선 책임론이 점증하고 있는 것도 문 전 후보 운신의 폭을 좁히는 요인이다.
문 전 후보의 패배로 이해찬 전 대표의 2선 후퇴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전 대표는 이미 안 전 후보와의 단일화 과정에서 친노 패권주의의 정점에 있는 인물로 지목돼 지도부에서 물러난 바 있다. 하지만 그의 대표직 사퇴에도 친노 책임론이 끊이지 않으면서 정치적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치적 영향력이 쇠퇴할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도 당내 최대 계파의 수장이라는 무시할 수 없는 현실 탓에 그의 정치적 입김이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을 것이란 반론도 만만찮다. 결국 민주당의 대선 책임론과 향후 당 진로가 어떤 식으로 결정되느냐에 따라 그의 정치적 생명도 결론이 날 것이란 관측이다.
당안팎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이 전 대표와 '담합' 관계를 구축하면서 원내대표 차리를 꿰찼던 박지원 전 원내대표도 문 전 후보가 패배의 쓴잔을 마시면서 이미 퇴장한 상태다. 원내 전투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됐지만, 여권과의 입법 싸움에서도 뚜렷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 데다 외려 올해 저축은행 비리 협의를 받으면서 당에 부담을 줬고 자신의 정치적 이력에도 오점을 남겼다.
이정희 전 통합진보당 대선후보는 2012년 정치권에서 가장 급격하게 위상이 추락한 인물이다. 그는 원래 심상정 전 진보정의당 대선후보의 뒤를 이을 여성 진보 정치인으로 기대를 받고 있었다. 하지만 지난 4월 총선 관악을 야권연대 경선과정에서 여론조사 조작 논란으로 총선 후보직을 사퇴한 데 이어 통합진보당의 비례대표 부정 경선 논란으로 당이 쪼개지는 홍역을 치르면서 국민의 신뢰로부터 급격히 멀어졌다.
특히 진보 진영 전체의 도덕성과 능력에 심각한 회의를 불러온 '통진당 사태'의 장본인으로 거론되고 있어 총망받는 여성 진보 정치인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예상과 달리 대선 후보로 등장, TV토론에서 박근혜 당선인을 향해 쓴소리를 쏟아내 '막발 정치인'이라는 비판과 함께 선거판에 활력을 불어넣은 '똑부러진 정치인'이라는 이중의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선 막판 후보직을 사퇴해 야권의 정권교체에 힘을 보탠 것은 고려 사항이겠지만, 외려 보수의 결집을 불렀고 문 전 후보의 중도층 흡수에 장애가 됐다는 지적도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정권교체기에 자연스럽게 쇠락하는 정치인에 합류하게 됐다. 하지만 야권으로부터 역사상 최악의 대통령이라는 거친 평가가 존재했음에도 박근혜 당선인의 정권 재창출 덕에 '자연인 이명박'의 퇴임 이후는 상대적으로 편안할 전망이다. 하지만 대선 과정에서 정권 교체 희망이 60%에 이르는 등 이명박 정권 5년에 대한 평가가 후덕한 편은 아니다. 그럼에도 직선제 이후 최초로 여당에서 탈당하지 않은 채 대선을 맞은 현직 대통령으로 기록됐다는 점은 이명박 대통령 개인을 떠나 한국 정치사에 긍정적인 점으로 평가된다. 박근혜 시대를 맞아 그에 대한 역사적 평가가 뒤따를 것이다.
[뉴스핌 Newspim] 노희준 기자 (gurazi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