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하반기 전망과 전략] '우등생' 프론티어마켓 주목하라

기사등록 : 2013-06-28 10: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2013년 상반기 세계 경제와 금융시장은 절반의 성공을 거뒀다. 미국 시퀘스터, 유로존 위기, 중국 경착륙 위험 등 중요한 위험 요소들이 충격을 주지 않고 비껴갔다. 경제 회복 속도는 느리지만 완고한 개선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장기금리가 정상화될 조짐을 보이면서 채권시장이 동요하고, 신흥국으로 유입되던 자금이 방향을 틀고 있다. 일본의 새로운 실험 '아베노믹스'의 성공이 불확실한 데다 중국 새 지도부의 완고한 개혁 의지가 새로운 위험으로 부상하고 있어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적잖은 부담이다. 이 가운데 뉴스핌은 상반기 추세를 점검하고, 하반기에 주목할 추세, 위험요인을 점검한다. [편집자 주]

[뉴스핌=권지언 기자] 올 들어 미국 증시의 신고점 경신 소식과 아베노믹스 위력에 힘입은 일본 증시 급등세에 가려 큰 주목을 받지는 못했지만 상반기 글로벌 주식시장서 단연 상위권 성적을 거둔 곳은 프론티어 마켓이다. 

최근 미국과 중국서 불거진 시장 악재들에 글로벌 금융시장이 일제히 출렁이면서 프론티어 마켓의 하반기 성장 모멘텀에도 차질이 생길지 관심이다.

프론티어 마켓 상당 수는 올해 꾸준한 상승 흐름을 이어오며 한 때 주목 받던 이머징 마켓과도 확실한 차별화 양상을 보였다.

 

개별 국가별로 살펴보자면 아랍에미리트(UAE)와 파키스탄, 베트남 등이 눈에 띈다.

최근 다소 주춤하긴 했지만 여전한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는 일본 증시가 올 들어 26% 가까이 (6/24일 종가 기준) 오른 가운데, 두바이 종합주가지수는 39% 넘게 상승했다. 파키스탄과 베트남 증시 역시 각각 25%, 18% 수준의 YTD를 기록하며 선전했다.

작년 하반기서부터 회복세로 전환될 것이라던 신흥국(특히 브릭스, BRICs) 국가들이 여전히 지지부진한 것과도 대비되는 성적이다. 인도와 브라질, 러시아 등은 YTD가 각각 -5%, -25%, -19% 수준으로 완전히 맥이 빠진 상태다.

특히 6월 들어 글로벌 주요 시장의 주요 상승 동력이었던 미국의 양적완화(QE) 정책과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한 회의론이 고개를 들면서 시장 모멘텀 역시 주춤하기 시작, 5월에는 일본 증시가 폭락세를 연출하더니 6월 들어서는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긴가민가하던 QE 종료에 대한 뜻을 확실히 밝히면서 투자자들의 불안 심리가 급속도로 확산됐고, 글로벌 시장 전반에는 패닉장세가 연출됐다.

게다가 전진만 할 것 같던 중국이 신용 팽창 우려와 더불어 급정거하면서 중국발 금융위기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 전망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 지난 며칠 사이 상하이주가는 곤두박질 쳤다. 5월 말 2300 수준이던 상하이지수는 25일에는 1959.51로 마감하며 2000선이 붕괴된 상태.

QE 종료와 중국 재료 등이 파급력을 미치면서 글로벌 자금의 안전자산행은 가속화되는 모습이고, 이와 함께 신흥 및 프론티어 시장에서의 자금 유출 역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이달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메릴린치의 펀드매니저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2개월 내에 비중을 축소해야 할 지역으로 '신흥시장'을 꼽은 의견이 25%나 됐다. 자산배분가들 중 순수하게 9%가 신흥시장에 대해 '비중축소' 의견을 냈는데, 5월에 '비중확대' 의견이 순 3% 더 많았던 것에서 전환된 것.

개별 시장 중에서는 인도네시아와 인도에 대한 투자심리가 크게 휘청거린 것으로 확인됐는데, 이들 시장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 우위에서 '비중축소' 쪽으로 돌아섰다. 태국과 터키에 대한 익스포저도 현저하게 줄었다.


◆ 기회는 있다…펀더멘털 “주목”

[출처: MSCI 홈페이지]

하반기가 시작되려는 시점에 터진 시장 악재들에 그간 선전하던 신흥 및 프론티어 시장 역시 주춤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다만 강력한 펀더멘털을 바탕으로 일시적인 충격을 극복하고 성장세를 재개할 수 있는 시장은 분명히 있을 것이란 판단이다.

실제로 최근 일부 글로벌 펀드들이 신흥 시장에 대한 포지션을 유지하거나 확대 중이라는 소식이 전해지기도 했다. 신흥국들의 성장 전망이 다소 흐려진 곳도 있으나, 대부분의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여전히 양호하다는 판단이 작용한 결과다.

델텍자산운용 담당이사 티모시 홀은 연준의 출구전략과 관계 없이 신흥국들의 소비지출이 확대될 것이고 이는 기업 실적을 개선시킬 것이라면서, “지난 2주 동안 신흥국들의 펀더멘털이 변하지는 않았다. 다만 벨류에이션이 변했을 뿐”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2주 동안 터키와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증시에 투자했다고 밝혔다.

포브스 소속 브릭스 전문기자 케네스 라포자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전망을 인용, 아프리카와 중동에 걸친 프론티어 마켓의 성장률이 올해 3.1%를 기록한 뒤 내년에는 3.7%로 올라서는 등 발전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또 상반기 두각을 나타냈던 시장 역시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우선 지난해 말 아시아의 신데렐라로 떠오를 것이라며 주목 받기 시작한 필리핀의 경우, 5월 여타 증시와 함께 내리막을 걷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연초 대비 20% 정도의 상승세를 기록하며 승승장구하는 모습이었다. 물론 연준의 출구 소식 등으로 투자심리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필리핀 PSEI지수는 상승폭을 상당부분 반납, YTD가 3%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뚝 떨어졌다.

다만 펀더멘털 차원에서 크게 불리한 입장은 아닌 만큼 하반기 성적은 좀 더 지켜봐야 한다는 평가다.

지난달 말 발표된 필리핀의 올 1/4분기 성장률은 전년 대비 7.8%로 동기간 중국의 성장률 7.7%를 앞질렀다. 특히 이 같은 성장은 베니그노 아키노 필리핀 대통령의 투자 촉진 및 지출 축소 정책 효과에 힘입은 것으로, 아키노 대통령의 부패 척결, 예산적자 축소 등의 노력에 힘입어 필리핀은 올해 피치와 스탠다드앤푸어스(S&P)로부터 투자적격 수준(BBB-)으로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 받기도 했다.

중동 지역에서는 UAE와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관심을 끈다.

이달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는 UAE와 카타르를 ‘신흥시장’ 지수군으로 편입시키며 하반기 전망을 밝혔다. 또 지난달 중동과 북아프리카(MENA) 지역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대 자금이 유입됐다는 도이체방크의 보고서 역시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중 사우디로 3억 800만 달러가, 카타르와 두바이로 각각 1억 3100만 달러와 1억 2900만 달러가 유입된 것으로 나타났다.

SEI중동 담당이사 자한기르 아카는 알 아라비야와의 인터뷰에서 “(신흥시장 편입 소식은) UAE 경제와 시장이 성숙했다는 신호이고, 또 하나의 성공 검증”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카타르의 경우 공공부문 투자에 힘입은 경제 펀더멘털만큼 시장이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면서, 편입 소식이 다소 장기적인 전망을 반영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아르헨티나 역시 상반기 중 양호한 증시 성적으로 여러 번 언급된 곳으로, 지난 5월 중순까지 증시 YTD는 30%가 넘었다. 이 같은 성적에는 에너지 업종 강세와 3월 아르헨티나 출신 프란치스코 1세의 교황 선출 소식이 힘을 발휘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상승 모멘텀이 꺾이면서 YTD는 7% 정도로 낮아진 상태다.

아르헨티나의 지난 1/4분기 성장률은 3%를 기록했다. 다만 민간 경제전문가들은 0.1~1% 정도가 옳은 평가라고 대립각을 세우기도 해 시장 불안 요인은 잠재해 있다는 평가다. 

한편 전문가들은 프론티어 마켓의 펀더멘털도 중요하지만 이들 상당 수가 규모가 작고 유동성이 낮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알리안스번스타인의 하팅은 “(이들 프론티어 마켓의) 거래량이 너무 적어 시장을 움직이는 데 많은 자금 유입이 필요하지 않다”면서 “반대 역시 가능하다. 투자자들이 빼겠다고 마음먹으면 큰 폭의 손실도 금방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정치적 불안정이나 개혁 중단 등으로 인한 국제 투자자들이 갑작스런 외면은 신흥시장이나 프론티어시장의 간과할 수 없는 위험이라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