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포워드 가이던스'가 뭐길래? 연준 이어 ECB·BOE도 도입

기사등록 : 2013-07-05 11:1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시중금리 불안해지자 '커뮤니케이션정책 수단' 사용한 것

- 연준으로 고조된 출구 기대감 꺾어
- BOE 카니, '데뷔무대' 서프라이즈는 "성명발표"
- ECB 드라기, 유럽불안 '진정' 목적


[뉴스핌=권지언 기자] 유럽중앙은행(ECB)과 영란은행(BOE)이 금리 동결에 나선 가운데, 이들이 연준에 이어 도입한 ‘포워드 가이던스(forward guidance; 선제적 안내, 미래 지침)’에 시장의 이목이 집중되는 모습이다. 

가빈 데이비스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는 4일 칼럼을 통해 ECB와 BOE가 포워드 가이던스를 택한 것은 "연준이 택한 출구조치를 유럽도 따라 택할 가능성은 없으며, 오히려 연준 때문에 불안한 흐름을 보였던 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한 조치에 가깝다"고 진단했다.

ECB와 BOE의 이례적인 '포워드 가이던스' 카드 제시는 연준이 긴축 노선으로의 선회를 의미하는 출구 전략을 본격 공개한 뒤로 높아진 금리 인상 기대를 꺾기 위한 목적이라는 것. 다만 그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면 카니 BOE 총재가 택한 정책이 연준 스타일의 포워드 가이던스에 더 가깝다는 평가다.

BOE 지휘봉을 갓 잡은 카니 총재가 데뷔 무대를 장식하기 위해 꺼내든 카드는 성명서 발표다. 종전까지만 하더라도 BOE는 정책회의에서 성명서를 따로 내놓은 적이 없다.

성명서에서 카니는 BOE의 금리 인상은 현 상황에 맞지 않는다고 평가했고, BOE는 그에 필요한 조건(intermediate threshold)을 담은 '포워드 가이던스'에 대해서 8월 정책회의 때 검토해보기로 했다.

참고로 '포워드 가이던스'는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제로금리를 언제까지 유지할 것이라고 성명서 등에 밝히면서 시작했다. 아예 지난해 12월에는 기대인플레이션 2.5%, 실업률 6.5%가 금리인상에 나설 수 있는 조건(threshold)를 제시하면서 이른바 '에반스룰'이 만들어졌다. 현재 연준 정책결정자들의 경제 물가 전망에 의하면, 이 시점은 2015년으로 예상되고 있다.

BOE의 포워드 가이던스에 명확한 금리인상 기준점이 채택될 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데이비스는 8월에 어떤 내용이 나오더라도 시장은 실망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BOE가 이번 회의에서 인플레이션 이 현재의 2.7%에서 더 오른 뒤 목표 수준으로 떨어질 것이라 판단한 상황에서, 포워드 가이던스에 어떤 인플레이션 기준을 제시할 지가 상당히 애매해졌기 때문.

반면 드라기 총재는 기자회견에서 직접 '포워드 가이던스'라는 유례 없는 조치를 취한 것은 맞지만, 그 내용은 다소 상대적으로 제한적이었다는 평가다. ECB는 “장기간” 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겠다고 했지만 구체적으로 얼마나 오래일지에 대한 설명은 없었기 때문.

최근 포르투갈 정국혼란 등 시장 불안이 고조되자 ECB가 다시 한번 나서서 우려 진화에 나선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ECB는 지난해 유럽 국채시장이 요동치며 위기감이 고조되자 무제한 국채매입을 제시하며 소방수 역할을 한 바 있다.

스피로 소버린 스트래트지 담당이사 니콜라스 스피로는 이날 드라기 총재가 구두로 개입해 상당한 효과를 이끌어 낸 것이라며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또 인플레 관리를 최선과제로 삼는다는 ECB의 기조 역시 변하지 않았고, 실제로 시장 역시 ECB가 당장 금리 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번 결정이 큰 서프라이즈라고 할 수는 없다.

다만 지난 2011년 4월과 7월 경기활동의 진전으로 ECB가 금리를 50bp 올렸던 것과 같은 조치들은 없을 것이라는 판단은 가능해졌다는 평가다. 데이비스는 ECB가 실제로 쓸만한 옵션이 많이 남은 것은 아니지만, 시장 기대와는 반대로 통화완화 쪽으로 더 기울어져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앙은행의 가이던스 도입에 대한 우려 섞인 시각도 있다.

하이프리퀀시 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칼 B.웨인버그는 “ECB 정책기조에 대한 표현 방식을 다소 바꾸는 것만으로는 현재 유로지역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에 충분치 않다”고 경고했다. 

앞서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선진국 중앙은행의 커뮤니케이션 정책은 명목금리가 제로 수준이라는 제약 상황에서 통화정책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한 것이라고 평가하고, 다만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오히려 불확실성 규모나 변동폭을 더 키우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김 총재는 "정책금리조절 여력이 있는 중앙은행들에게도 커뮤니케이션정책을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면서도, 한은이 이러한 정책을 도입하기에는 맞지 않는다는 입장을 보였다.


[뉴스핌 Newspim] 권지언 기자 (kwonjiun@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