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윤상직 산업부 장관 유임…최경환 의지?

기사등록 : 2014-06-13 14:5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에너지·통상정책 성과… 규제개선·공기업 개혁도 평가

▲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뉴스핌=최영수 기자] 청와대가 13일 중폭 수준의 개각을 단행한 가운데 당초 교체설이 돌던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유임되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윤 장관은 지난해 박근혜정부 출범 당시 유일하게 승진 인사의 주인공이 되면서 관심을 모았다. 그런데 이번에 또 다시 개각의 '회오리바람' 속에서도 자리를 지켜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현 정권의 핵심 요직에 위스콘신대학 출신들이 기용되면서 '덕'을 본 것 아니냐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같은 위스콘신대 출신인 최경환 새누리당 의원이 경제부총리로 내정되면서 윤 장관의 유임에 힘을 실어 준 것 아니냐는 것이다.

◆ 솔선수범·소통의 리더십으로 난제 풀어내

하지만, 윤 장관이 산적한 현안들에 대해 남다른 리더십을 발휘하며 구체적인 성과를 보였기 때문이라는 게 관가의 인식이다.

특히 국민의 신뢰를 잃었던 원전 개혁하고 해외 수출까지 이뤄낸 점과, 갈등이 고조됐던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점, 급증하던 공기업 부채를 개선한 점 등은 대표적인 성과로 꼽는다.

실제로 지난해 밀양 송전탑 공사를 놓고 갈등이 고조될 당시 휴가를 반납하며 밀양 주민들과 대화에 나선 모습은 이후 대수의 마을이 보상에 합의하는 원동력이 됐다는 평가다.

공기업의 부채감축 문제도 공공기관 대표들과 진정성 있는 대화와 토론을 통해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된다.

규제개혁 역시 민간기업 및 전문가들을 초청해 '청문회'라는 이름으로 귀를 연 것도 피부에 와 닿는 규제 개선을 대거 발굴하는 원동력이 됐다는 평가다.

산업부 관계자는 "박근혜정부 출범 당시 분야별로 난제가 산적해 있었지만, 윤 장관이 낮은 자세로 소통하고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해법을 모색한 게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졌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도 "원전 개혁과 에너지 위기관리, FTA 체결을 통한 통상정책 확대, 공기업 부채감축 및 방만경영 개혁 등 윤 장관이 유임된 배경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지난해 7월 21일 밀양군 청도면 대촌마을을 방문해 송전탑 건설에 찬성해 준 마을 주민들에게 감사의 인사를 하고 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 사용후 핵연료·한중 FTA 해법 '과제'

하지만, 개각 태풍 속에서 살아난 윤 장관과 산업부에 미소를 띠울 여유는 많지 않다. 사회적인 갈등이 확산될 수 있는 현안들이 여전히 산재해 있기 때문이다.

발등의 불과 다름없는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 작업을 당장 연말까지 마쳐야 한다. 이는 고리·월성 원전의 수명 연장 문제와 함께 갈등이 증폭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한중 FTA도 속도감 있게 추진되고 있는 것에 비해 피해계층에 대한 대책 마련은 미흡한 상황이어서 언제든지 갈등이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윤 장관이 취임 이후 현안을 직접 챙기며 솔선수범과 소통의 리더십을 보여줬다"면서 "향후에도 남다른 리더십을 통해 해법을 모색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1956년 5월 경북 경산 출생으로 부산고와 서울대 무역학과를 졸업했으며, 서울대 행정대학원과 미국 위스콘신대에서 각각 석사와 법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행시 25회 출신으로 1982년 공직에 입문한 이후 산업과 통상, 에너지 전반에 걸쳐 요직을 두루 맡았으며, 지난해 3월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