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재계노트] 20조원 vs 2조원…그 속에 담긴 의미

기사등록 : 2015-01-30 15:58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삼성, 애플과 벌어진 10배 격차‥각종 규제 등 환경조성 아쉬워

[뉴스핌=이강혁·추연숙 기자] "참 대단하다. 부럽다. 격차가 뼈저리게 느껴진다." 애플의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삼성전자 관계자들의 반응은 이같은 말로 요약된다.

삼성전자가 29일 지난해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호령하는 삼성전자와 애플의 지난 한해 농사 집계가 마무리됐다. 스마트폰 시장을 양분하고 있는 양사간 격차는 숫자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애플은 지난해 4분기 중국 시장의 막대한 이익에 힘입어 20조원에 가까운 이익을 올렸다. 영업이익률이 무려 38%에 육박한다. 전세계 기업역사에 한 획을 긋는 놀라운 기록이다. 삼성전자는 같은 기간 영업이익 5조29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률은 10%대에 겨우 턱걸이 했다. 스마트폰을 담당하는 무선사업(IM부문)만 떼어놓으면 2조원에 근접한 이익을 거뒀다.

사업부문의 분기 영업이익 2조원 숫자는 국내 기업 중 유일하다. 하지만 글로벌 일류기업인 삼성전자에게 애플과의 격차가 무려 10배나 벌어졌다는 것은 뼈 아프게 다가온다. 20조원 대 2조원의 격차.

삼성전자와 애플은 그동안 스마트폰 강자의 위치를 두고 격돌해 왔다. 애플이 혁신의 아이콘 아이폰 시리즈를 들고 나오면서 시장을 선도하던 시절 삼성전자는 옴니아 시리즈의 큰 실패를 맛보며 좌절해야 했다.

뒤집힐 것 같지 않았던 시장 구도는 삼성전자가 갤럭시 시리즈를 통해 반격에 나서면서 역전됐다. 애플이 혁신의 한계에 직면했다는 비판을 받는 사이 삼성전자는 대화면 스마트폰 등 다품종 전략을 통해 시장 점유율을 한단계 더 끌어 올려 달아났다.

기세 등등했던 삼성전자에게 이번에는 애플이 카운터 펀치를 날렸다. 지난해 하반기 본격적으로 대화면폰 시장에 뛰어든데다 중저가 시장에서도 발빠른 행보를 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폭발적인 성공을 거뒀다. 사실상 삼성전자의 시장 전략과 비슷한 그림을 그리고 맞불을 놓고 있는 셈이다.

물론 애플과 삼성전자의 지난 4분기 실적 수치를 단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삼성전자는 기술개발부터 디자인, 제조망, 유통망까지 모두 운영하면서 엄청난 고정비용을 치르고 있지만 애플은 사실상 기술개발과 디자인 회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철저한 아웃소싱 개념의 경영전략을 펴고 있기 때문이다.

또, 법인세만 하더라도 애플의 여건이 월등히 삼성전자보다 낫다. 미국의 법인세율은 35%로 높은 편이지만 해외법인에서 벌어들인 돈을 법인이 모회사에 배당하지 않는 한 해당법인에 세금을 물지 않는다는 미국 세법상 애플의 막대한 영업이익률이 가능하다. 삼성전자는 해외에서 벌어들이는 이익에도 세금을 물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현실을 감안해도 10배의 격차는 커도 너무 크다. 사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2015년을 출발하는 현시점의 위기감이라는 것은 상당한 무게감이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높은 가운데 한국경제마저 장기침체의 그늘이 짙게 드리워져 있기 때문이다.

도약이냐, 정체냐, 추락이냐의 중대한 기로에 선 삼성전자. 그러나 이런 절박한 상황이지만 주변의 경영환경은 녹록치 않다.

삼성전자에게 사업적으로는 스마트폰 시장에서 애플만이 경쟁자가 아니라는 점은 일단 큰 문제다. 애플만을 신경쓰기에는 샤오미 등 중국 업체들의 질주가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국내에서는 전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 이슈까지 발목을 잡고 있다. 기존의 방식으로는 애플에게 '장군멍군'을 외치는 상황이 또다시 올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사업재편도 원활하지 않다. 바람직한 민간 자율 빅딜의 첫 사례로 평가받던 삼성과 한화의 방산 및 화학 계열사 매각 문제가 해당사 직원들 반발에 부딪쳐 곤욕을 치르고 있다. 삼성중공업과 삼성엔지니어링의 합병 무산 사례처럼 주주들 달래기에도 막대한 자금을 쏟아부어야 한다. 비단 이런 문제는 삼성전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현대차 등 글로벌 시장을 무대로 활동하는 국내 기업들 대다수가 처한 현실이기도 하다. 

상황이 이렇지만 시장논리보다 한참 늦게 가고 있는 국내의 규제 개혁 속도는 아쉽다. 보호정책에만 집중된 동반성장 이슈나 유연성이 크게 떨어지는 노동시장 구조, 중소기업에 편중된 각종 세제 혜택, 정치권 일각과 시민사회단체 일부의 '대기업=부자=타도 대상'이라는 인식 등 부담요인은 여전히 산재해 있다. 오히려 한 차원 더 높은 규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애플처럼 전세계 기업사에 한 획을 긋는 이익을 내는 기업은 국격 차원에서도 반길만한 일이다. 그러나 국내 기업 관계자들은 아무리 혁신적으로 사업을 전개해도 애플만큼의 큰 이익을 내는 기업이 국내에서 탄생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말한다. 기업 활동의 원활한 환경이 조성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재계 관계자는 "아마도 삼성전자의 영업이익률이 오르면 곳곳에서 난리가 날 것"이라며 "얼마나 협력사를 쥐어 짰겠느냐, 각종 혜택이 대기업에게만 편중된 것 아니냐 등 후폭풍이 만만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추연숙 기자 (ikh@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