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강혁 기자] 삼성전자의 임금동결이 삼성 전 계열사로 확산되고 있다. 가뜩이나 국내 경기가 살아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재계 1위 삼성의 임금동결은 국내 경제 전반에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보인다.
삼성의 임금동결 결정은 지난해 실적 부진에 따른 허리띠 졸라매기 차원이자, 실적 부진이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하강국면의 추세화라는 측면에서 그 배경을 찾아볼 수 있다.
재계에서는 통상임금 영향으로 실질 임금이 높아진 이유도 한 몫한 것으로 보고 있다.
27일 삼성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올해 일반 직원들의 임금을 동결키로 했다. 전사적인 임금동결은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이후 6년 만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8년 리먼 사태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자 이듬해인 2009년 초 임직원의 임금을 동결한 바 있다.
이번 임금동결은 노사간 합의에 따라 결정됐다. 삼성전자 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이달 25일까지 임금동결 문제를 논의해 이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당초 사원협의회는 물가 상승률 수준의 임금 인상을 요구했지만 회사 측이 어려운 경영현실을 들어 임금동결을 제시하면서 내부 논란 끝에 직원들이 사측 요구를 수용했다.
삼성전자의 임금동결은 삼성 주요 계열사 전반으로도 빠르게 확대되는 추세다. 삼성디스플레이와 삼성전기가 이날 오전 사내방송을 통해 임금동결 소식을 직원들에게 안내했다. 삼성SDI는 임금동결 소식을 이날 오전 중 전하지 않았으나, 곧 동결 방침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의 이같은 임금동결 방침은 한 치 앞을 예측하기 어려운 경영환경에 대한 고강도 비용절감 조치다. 삼성전자의 경우만 이번 임금동결로 상당한 인건비 절감효과를 거둘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삼성전자의 총 직원수는 정규직 9만6945명, 계약직 2611명을 포함해 총 9만9556명이며 이들에게 인건비로 지급한 급여 총액은 5조9919억원이다. 전 직원 평균 급여수령액은 6100만원이다. 2013년 연간 평균 급여수령액은 1억200만원이었다.
다만 삼성전자를 비롯한 삼성 계열사의 이번 임금동결은 기준인상률만 동결키로 한 것이라 개인 성과에 따른 임금인상률은 그대로 유지된다. 지난해 기준인상률은 1.9%였다. 이에 따라 실제 직원들은 고과에 따라 0~7%의 성과인상률이 적용된다. 평균 2.3%의 임금 인상 효과를 보는 것이다.
사실 삼성 내부의 위기감은 외부의 시각보다도 더 심각하다는 인식이 짙게 깔려 있다. 삼성 전체 이익의 70% 가량을 책임지고 있는 삼성전자의 실적 부진을 두고 일시적인 현상이 아닌 추세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내부 지적이 나올 정도다.
실제 삼성전자는 지난해 주력 사업인 스마트폰이 고전하면서 영업이익이 32%나 급감했다. 특히 스마트폰 사업을 담당하는 IM(IT·모바일) 부문은 지난해 3분기 영업이익이 3년여 만에 2조원 아래로 추락했고, 4분기에도 1조9600억원에 머물렀다.
올해 들어서도 프리미엄 스마트폰은 미국 애플에 밀리는 형국이고, 중저가 모델들은 중국 샤오미 등 신흥업체들의 반격이 만만치 않다. 그만큼 경쟁환경이 녹록치 않은 셈으로, 삼성전자가 2013년처럼 분기당 10조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올리는 호황기는 당분간 누리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장기적으로도 새로운 먹거리 찾기가 쉽지 않은 형국이다. 스마트폰 이후를 대비해 기업간거래(B2B) 시장을 공략하고 소프트웨어 관련 사업을 확대 등은 사업체질을 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성장곡선은 미미한 수준이다. 사물인터넷(IoT) 분야도 이제 막 걸음마를 떼면서 성장을 논하려면 2020년 이후나 가능하다.
임직원만 20만명을 훌쩍 넘어서는 삼성의 임금동결 분위기는 국내 경제 전반에도 상당한 파장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주요 소비주체의 임금동결이라는 심리적 부담과 더불어 재계 여러 기업들의 임금동결 도미노 현상도 빠르게 확산될 수 있어서다.
한편, 재계에서는 삼성의 이번 임금동결 기조는 통상임금의 영향도 한 몫 했을 것으로 바라본다. 대다수 제조기업들은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으로 들어가고 기존의 연장근로 수당도 올라가면서 실질적인 회사의 부담은 커진 것이 사실이다.
재계 관계자는 "회사 입장에서 보면 2013년에 비해 2014년에 임금이 많이 올라갔고, 통상임금 영향으로 임금 상승 효과가 더해지면 회사가 느끼는 부담은 가중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