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내 집 없는 미국인' 늘어나며 빈부격차도 심화

기사등록 : 2015-05-08 15:49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자가보유율 63.7%, 25년래 '최저'…임대율은 '사상 최고'

[뉴스핌=김성수 기자] 미국 대도시에 '집 없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빈부격차를 심화시킬 우려가 커지고 있다.

7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매체 CNBC는 최근 미국의 자가주택 보유율이 25년래 최저로 떨어졌다고 보도했다. 고용시장 상황이 악화되면서 수요가 줄어든 데다 경기 침체 이후로 주택계약 조건이 까다로워지면서 공급도 쪼그라든 영향이다.

미국 플로리다주 서프사이드에서 한 주택이 '매매' 사인을 내놓고 있다.<출처=AP/뉴시스>
미국 통계조사국이 실시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현재 미국 내 자가주택 보유율은 63.7%로 25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인 중 자기 집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이 3분의 1을 훨씬 넘는다는 말이다. 이는 지난 2000년대 중반 미국에 부동산 붐이 일었던 당시의 69%보다 더 낮아진 것이다.

일부 주택이 담보로 잡혀 있거나 상태가 열악한 점을 감안하면 실제 주택 보유율은 이보다 더 낮을 것으로 추산된다. 주택 보유율이 낮아지면서 임대 수요는 반대로 늘어났다. 지난해 미국의 총 임대료는 직전해 수준보다 200억달러 증가했다.

임대율도 사상 최고 수준이다. 나이 든 연령층이나 주택을 담보로 잡힌 수백만명은 임대로 눈을 돌리고 있으며, 좋은 학군에 살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경우엔 임대 수요가 더 크게 늘어났다.

문제는 이처럼 자가주택 보유가 줄어들 경우 중산층의 빈부격차도 그만큼 확대된다는 점이다.

로렌스 윤 전미부동산협회(NAR)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중산층에겐 집을 갖는 게 재산을 모으는 중요한 수단이 돼 왔다"며 "그러나 주택 보유율이 급격히 낮아지고 임대가 늘면서 미국 내 대도시에서 빈부격차가 심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2010~2013년 사이 미국에서 자가 주택을 보유한 사람들은 집값이 오르면서 재산이 약 2만달러 늘어났다. 캘리포니아 산호세의 주택 보유자는 21만671달러의 부가 확대됐다. 반면 세입자들은 이러한 혜택에서 소외됐을 뿐 아니라, 임대료 상승에 따른 불이익을 겪고 있다.

미국 내 소득 불평등이 세 번째로 심한 마이애미에서는 같은 기간 동안 주택 보유율이 3.3% 떨어졌다. 반면 이 기간 동안 집을 가진 사람들은 집값이 오르면서 재산이 5만달러 넘게 불어났다.

CNBC는 "2016년 미국 대선 후보들이 주목하는 이슈도 실업률과 주택보유 문제"라며 "향후 이에 대한 정치적 논의도 더 활발해질 전망"이라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