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노조의 위로금 요구 파업으로 빅딜이 당초 계획보다 7개월 지연됐다. 딜 규모도 당초보다 축소됐다. 재계에선 법적 강제성도 없는 위로금이 원활한 사업 재편에 발목을 잡아서는 안된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1일 관련업계 및 회사측에 따르면 한화테크윈은 지난달 30일 직원 4700명의 개인통장으로 1인당 4000만원씩, 총 1880억원의 합병 위로금을 송금했다. 위로금은 ‘2000만원+기본급 6개월치’로 산정됐다.
한화테크윈은 지난 29일 성남상공회의소에서 임시주총을 열고 사명을 변경하는 안건을 우여곡절 끝에 의결한 지 하루만에 위로금을 지급했다.
같은날 한화탈레스도 같은날 직원 1700명에게 1인당 2000만원씩 340억원의 합병 위로금을 지급했다. 양사 위로금 합계는 총 2220억원이다.
사측이 근로자들과 협상 과정에서 제시했던 안대로 이행한 것. 노조의 반발이 제기되고 있지만 사측은 추가적인 지급은 없다는 입장이 확고해 위로금 규모가 늘어날 가능성이 현재로적다.
한화테크윈과 한화탈레스의 위로금이 이대로 확정되면 삼성-한화그룹 간 ‘빅딜’에 소요된 위로금은 총 3300억원이 된다.
앞서 5월 1일부터 한화그룹으로 편입된 삼성토탈과 삼성종합화학 직원들에 대한 위로금 협상은 1인당 6000만으로 결정됐다. 4000만원에 기본급 6개월치를 더해 산정했다. 두 회사의 직원수가 1800여명인 점에 비춰보면 위로금 규모는 약 1100억원이다.
위로금은 거래 당사자가 아닌 피인수회사에서 지급했다. 곧, 위로금만큼 보유 현금이 줄어 기업 가치는 깎였고 빅딜 규모도 축소됐다.
4개사 인수금액은 지난해 11월 계약 체결 당시 알려진 1조9000억원보다 적은 1조8541억원으로 최종 마무리됐다. 관련업계는 2조원대까지 금액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히려 줄었다.
삼성전자는 삼성테크윈 지분 처분가치를 6610억1709만원에서 6477억9675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삼성종합화학에 대해서도 5706억923만원에서 5547억1383만원으로 내렸다.
삼성물산도 삼성태크윈 지분 매각 가격을 1110억9118만원에서 1088억6936만원으로, 삼성종합화학 가격을 4228억6147만원에서 4112억5272만원으로 조정했다.
삼성SDI는 삼성종합화학 매각 가격을 1907억7773만원에서 1855억4034만원으로 내렸고 삼성전기 역시 삼성종합화학 지분 가치를 5706억923만원에서 5547억1383만원으로 재산정했다.
A기업의 M&A 담당팀장은 "일반적으로 회사를 사들이는 쪽에서 위로금 빠져나간 만큼 해당 기업의 가치를 깍아 평가하거나 파는 쪽에서 위로금을 대지급하고 매각대금을 받아 보전하는 식으로 계약을 체결한다"며 "현금 감소분을 기업가치에 얼마만큼 반영할지 계약으로 정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위로금의 법적인 근거는 없다. 때문에 재계는 삼성과 한화의 이번 빅딜 과정에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구조개편작업에 가속도를 붙일 정부의 '원샷법' 통과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위로금 문제가 발목을 잡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경련 관계자는 "위로금 지급 여부는 개별 기업이 M&A에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해서 결정할 문제이긴 하지만 일종의 '떼문화' 산물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주주나 일반인에게 기업의 노사 갈등이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게 좋지도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업체 관계자는 "노조측에서는 위로금 지급을 요구하는 이면에 고용보장이 있다고도 주장하고 있으나 구조조정은 M&A 여부와 상관 없이 항상 불거질 수 있는 주제가 아닌가"라며 "M&A 때마다 위로금 지급문제로 일정이 지연된다면 자칫 사업 구조재편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앞서 5월 1일부터 한화그룹으로 편입된 삼성토탈과 삼성종합화학 직원들에 대한 위로금 협상은 1인당 6000만으로 결정됐다. 4000만원에 기본급 6개월치를 더해 산정했다. 두 회사의 직원수가 1800여명인 점에 비춰보면 위로금 규모는 약 1100억원이다.
위로금은 거래 당사자가 아닌 피인수회사에서 지급했다. 곧, 위로금만큼 보유 현금이 줄어 기업 가치는 깎였고 빅딜 규모도 축소됐다.
4개사 인수금액은 지난해 11월 계약 체결 당시 알려진 1조9000억원보다 적은 1조8541억원으로 최종 마무리됐다. 관련업계는 2조원대까지 금액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으나 오히려 줄었다.
삼성전자는 삼성테크윈 지분 처분가치를 6610억1709만원에서 6477억9675만원으로 하향 조정했다. 삼성종합화학에 대해서도 5706억923만원에서 5547억1383만원으로 내렸다.
삼성물산도 삼성태크윈 지분 매각 가격을 1110억9118만원에서 1088억6936만원으로, 삼성종합화학 가격을 4228억6147만원에서 4112억5272만원으로 조정했다.
삼성SDI는 삼성종합화학 매각 가격을 1907억7773만원에서 1855억4034만원으로 내렸고 삼성전기 역시 삼성종합화학 지분 가치를 5706억923만원에서 5547억1383만원으로 재산정했다.
A기업의 M&A 담당팀장은 "일반적으로 회사를 사들이는 쪽에서 위로금 빠져나간 만큼 해당 기업의 가치를 깍아 평가하거나 파는 쪽에서 위로금을 대지급하고 매각대금을 받아 보전하는 식으로 계약을 체결한다"며 "현금 감소분을 기업가치에 얼마만큼 반영할지 계약으로 정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위로금의 법적인 근거는 없다. 때문에 재계는 삼성과 한화의 이번 빅딜 과정에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구조개편작업에 가속도를 붙일 정부의 '원샷법' 통과를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위로금 문제가 발목을 잡을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경련 관계자는 "위로금 지급 여부는 개별 기업이 M&A에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해서 결정할 문제이긴 하지만 일종의 '떼문화' 산물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주주나 일반인에게 기업의 노사 갈등이 있는 것처럼 비춰지는 게 좋지도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업체 관계자는 "노조측에서는 위로금 지급을 요구하는 이면에 고용보장이 있다고도 주장하고 있으나 구조조정은 M&A 여부와 상관 없이 항상 불거질 수 있는 주제가 아닌가"라며 "M&A 때마다 위로금 지급문제로 일정이 지연된다면 자칫 사업 구조재편 타이밍을 놓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