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국감] 박완주 "당진화력 9.10호기 송전제약…연간 수천억 낭비"

기사등록 : 2015-09-18 15:5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3조원 들여 발전소 지었는데 송전망 미비로 발전 못해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3조원 가까이 투자해 건설중인 당진화력 9,10호 발전기가 송전제약으로 발전이 어려워져 연간 수천억원의 추가비용이 들어갈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 박완주 의원
18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박완주 의원(천안을)이 한국전력공사와 전력거래소가 제출한 '당진화력 9,10호기 계통운영 현안'을 분석한 결과 송전제약에 따른 전력수급 차질이 2016년 최대 210만㎾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진화력 9,10호기의 송전제약은 한전과 전력거래소, 동서발전이 지난 3월 전력거래소 본사에서 유관기관 T/F를 갖는 등 계통운영 개선방안을 연구하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해법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다.

감사원은 지난 2011년 당진지역의 765kV 2회선 고장에 대한 보완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전기위원회는 이에 따라 당진화력 인출 보강방안을 의결해 765kV 1회선을 신속히 건설하기로 했다.

765kV 송전선로는 345kV로 변경됐고, 당진화력에서 북당진 33㎞구간을 잇는 사업계획이 최종 확정됐다. 345kV 당진화력-북당진T/L을 건설하지 못하면 자칫 당진화력-신서산(765kV) 구간이 고장 날 경우 원자력발전소 6대에 해당하는 600만㎾의 발전기가 탈락하게 된다.

이 경우 전국 전력소비량 6%에 해당하는 500만㎾의 부하가 일시에 차단돼 최악의 경우 광역정전이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전력당국은 최근 준공된 당진9호기(100만㎾)와 내년 상반기 준공되는 당진 10호기(100만㎾)의 발전제약을 추진 중이다. 용역보고서는 2015년 발전제약이 최대 150만㎾, 2016년은 210만㎾와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당진 9,10호기의 발전제약은 전력구입비 증가를 가져온다. 석탄화력 대신 수도권의 비싼 가스발전을 돌리기 때문이다. 송전제약이 100만㎾일 경우 2879억원, 150만㎾는 4699억원, 200만㎾에 이르면 6432억원에 달한다.

박완주 의원은 "송전제약으로 인한 발전제약은 정부 전력수습 계획을 통해 유지하려던 예비율까지 차질이 불가피하다"면서 "2011년부터 예견된 사안을 4년이 지나도록 해결하지 못하는 엉터리 수급계획에 대해 사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