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삼성전자, '바이오 프로세서' 첫 양산…웨어러블 기기 적용

기사등록 : 2015-12-29 09:42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심박수 등 생체신호 처리기능 '원칩'에 담아 초소형 제품 구현 가능

[뉴스핌=황세준 기자] 삼성전자가 '갤럭시 기어 S2'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에 적용하는 '바이오 프로세서'를 처음으로 양산한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생체신호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기능을 하나의 반도체 칩에 담은 '바이오 프로세서(S3FBP5A)'를 이달부터 양산·출하 중이며 내년 상반기 피트니스/헬스케어 기기에 탑재할 예정이라고 29일 밝혔다.

바이오 프로세서.  <사진=삼성전자>

회사측에 따르면 이 제품은 반도체 업계 최초로 바이오 기능을 하나의 칩으로 구현했다. 기존에는 센서에서 측정한 생체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칩이 필요했다. 곧 이 제품은 바이오 헬스케어 기기를 위한 전용칩인 셈이다.

삼성전자 '바이오 프로세서'는 하나의 칩에 마이크로 컨트롤러 (MCU)와 디지털 신호처리(DSP) 프로세서, 내장 플래시 메모리까지 담았다. 

각각의 기능을 개별 칩으로 구성할 때에 비해 면적을 4분의 1 수준으로 줄일 수 있어 글로벌 IT기기 제조사가 초소형 웨어러블 기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출시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바이오 프로세서'를 활용한 팔찌 타입과 패치 타입의 웨어러블 레퍼런스 플랫폼을 고객사에 제공해 신제품 개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회사측은  이번 '바이오 프로세서' 양산으로 웨어러블 기기 등을 통해 개인 건강정보를 분석하고 복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바일 헬스케어 산업의 요구에 대응하고 시장 리더십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이번 신제품을 통해 시스템반도체 사업 영역을 기존에 집중해 온 모바일 SOC 분야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분야로까지 확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허국 삼성전자 S.LSI 사업부 마케팅팀 상무는 "IT기기가 진화하고 건강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더욱 증가함에 따라 개인 헬스케어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며 "바이오 프로세서는 다양한 생체신호를 분석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으로서 웨어러블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에 양산을 시작한 바이오 프로세서는 체지방과 골격근량, 심박수, 심전도, 피부온도, 스트레스 반응 등 5가지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별도의 알고리즘을 구성하면 심박수와 심전도를 조합해 혈압을 측정하는 등  두 가지 이상의 측정 정보로 새로운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