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알파벳 실적 악재, 지나친 실망은 금물

기사등록 : 2016-04-22 14:23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고성장 위해 투자 늘려…비용/매출 크게 안 늘어

[뉴스핌=김성수 기자] 구글 지주회사인 알파벳(종목코드: GOOGL)의 지난 1분기 실적이 기대 이하로 나오면서 주가가 급락했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크게 우려할 정도는 아니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21일 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알파벳이 아직 성장 단계에 있기 때문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하고, 이에 따라 비용이 증가하면서 순익이 예상을 다소 하회하는 것은 장기적 관점에서 큰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사진=블룸버그통신>

팩트셋에 따르면 알파벳은 지난 12번의 실적 발표 중에서 월가 예상에 미달하는 실적을 낸 경우가 8번에 이르렀다. 알파벳이 이날 발표한 지난 1분기 주당 순익(EPS)도 7.50달러로 전문가들 예상치 7.97달러보다 6% 낮았다.

◆ 자회사 구글, 성장 에너지 '발산'

그러나 알파벳의 자회사 구글의 성장세를 지켜보면, 단순히 주당 순익만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에너지가 뿜어져 나오고 있다. 

알파벳 매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구글의 검색광고 사업은 연간 17% 성장세를 나타냈다. 구글 및 제휴 사이트의 매출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는 클릭수(paid click)도 연간 기준 29% 급증했다.

알파벳은 모바일 부문의 실적을 별도로 발표하지는 않지만, 루스 포랏 알파벳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모바일 검색 부문이 지난 1분기 구글 매출의 20% 증가를 이끌어냈다면서 "상당히 강력한 증가세(substantial strength)"라고 표현했다.

이처럼 구글이 성장을 지속하는 상황에서, 알파벳은 설비투자를 늘려나가는 전략을 구사하게 된다. 회사에 돈을 차곡차곡 쌓아놓기 보다는 그 편이 향후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가능케 하기 때문이다.

알파벳의 지난 1분기 트래픽 인수 비용(TAC, traffic acquisition cost)이 전년대비 13% 증가한 것은 이러한 전략의 일부로 해석된다. TAC는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사용자를 획득하기 위해 치르는 비용을 뜻한다.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야후 등 IT 기업들은 매출에서 반드시 이 TAC를 차감하게 돼 있다.

◆ 알파벳 'TAC' 증가 의미는

인터넷 기반 사업자들 입장에서 TAC가 0에 가까워진다는 것은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비용이 덜 든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지표는 미국에서 기업을 평가할 때 반드시 등장할만큼 중요한 요소로 고려되고 있다.

알파벳의 TAC가 증가한 것은 곧 사용자를 끌어들이기 위한 비용이 늘어났음을 뜻한다.

구글도 성장을 위해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구글의 지난 1분기 설비투자 비용은 24억달러로 전분기보다 16% 늘어났으며, 고용 인원도 2300명에 이른다.

다만 영업비용은 매출의 36%에 그치면서 지난 2년 평균치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알파벳과 구글이 투자를 지속해나가고 있지만, 영업비용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나지 않아 전체적으로 재무 건전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알파벳 주가는 지난 1년간 42.56% 상승하면서 나스닥지수의 0.06% 하락을 크게 웃돌고 있다.

지난 1년간 알파벳(주황색)과 나스닥지수(파란색) 주가 추이 <사진=블룸버그통신>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