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newspim

미래부, 클라우드 산업 육성 ‘잰걸음’…규제완화 지속 추진

기사등록 : 2016-05-31 16:26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최양희 장관, 현장 방문 및 업계 의견 수렴

[뉴스핌=정광연 기자]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가 클라우드 컴퓨팅(이하 클라우드) 산업 육성을 위한 본격 채비에 나섰다.

미래부는 31일 최양희 장관이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 위두커뮤니케이션즈를 방문해 개발자들을 격려하고 규제개선 관련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했다고 밝혔다.

지난 2003년 설립된 위두커뮤니케이션은 스토리텔링 수학 학습이 가능한 전자책과 기능성 게임 콘텐츠, 저비용 학습 도구 패키지인 큐니(Cuni) 등을 출시했으며 현재 국가 디지털 교과서 제작 사업 및 이러닝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중이다.

이번 현장방문은 지난 5월, 제5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발표한 클라우드컴퓨팅 규제개선에 대한 후속조치의 일환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 육성 방안의 일환으로 교육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업체 위두커뮤니케이션즈를 방문한 최양희 미래부 장관이 이규하 대표로부터 제품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정광연 기자>

서석진 소프트웨어정책관은 “규제개선으로 교육과 의료, 금융에서 클라우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이 중 교육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기업을 직접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발전 방향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라며 방문 의도를 설명했다.

ICT 데이터(자원)를 별도의 서버 구축 없이 통신망에 접속해 이용하는 클라우드는 ICT 업계에서 주목하는 대표적인 ‘먹거리’ 산업이다.

오는 2019년 전 세계적으로 1882억 달러(224조원) 규모의 시장을 형성할 전망이다. 국내 2014년 5억4000만 달러(6400억원)에서 2019년 12억 달러(1조4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부가 지난해말 ‘K-ICT 클라우드 활성화 계획안’을 발표하며 관련 산업 육성에 주력하는 이유다.

최 장관은 “교육 콘텐츠가 소프트웨어와 결합하면 글로벌 진출이 가능하지만 그동안 인프라 구축, 네트워크 사용 등에서 어려움이 있었다”며 “편리하고 저렴한 클라우드가 이런 부분에서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저출산의 가장 큰 이유가 사교육비 부담이라는 지적이 많은데 이러닝 등이 활성화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났다.

향후 미래부는 클라우드 등 ICT 신사업 육성을 위해 규제개선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서 정책관은 “현재 대기업의 공공 소프트웨어 사업 참여가 제한되고 있지만 미래부가 권한을 가진 신산업 분야에서는 유동적으로 참여를 허가하고 있다”며 “이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의원들이 많아 20대 국회에서는 법령 재정비도 어느 정도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뉴스핌 Newspim] 정광연 기자(peterbreak22@newspim.com)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