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보
주요뉴스 광고

경기한파에 중국 호화 명품시장 소비절벽 (中) 예술품과 골동품

기사등록 : 2016-06-01 16:57

※ 뉴스 공유하기

URL 복사완료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디플레이션 공포 중국 예술품 시장 강타

[편집자] 이 기사는 02월 01일 오전 10시51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연 기자] 중국 호화 명품 시장이 경기침체로 휘청이고 있다.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지난해 7% 아래로(6.9%) 떨어지며 경기 둔화세를 나타낸 가운데, 한때 ‘세계의 큰 손’이라 불리며 배추 사듯 고급품을 사들이던 중국인 소비자들이 지갑을 굳게 닫고 있는 모습이다.

2015년 중국 호화 명품 브랜드 시장은 전년 대비 2% 감소하며 2년 연속 위축됐다. 특히 남성복과 시계 판매량이 10% 이상 감소했다. 명품 매장은 줄줄이 문을 닫으며 소수의 매장에 힘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예술품 시장도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피하지 못하고 있다. 근현대 및 당대 서화(書畵) 거래량이 줄면서 경매량과 낙찰량이 각각 13.96%, 13.40% 감소했다. 수많은 갤러리가 문을 닫았고, 중국인들이 예술품 해외원정 구매에 나서면서 중국 예술품 시장이 크게 위축됐다.   

럭셔리카 시장은 지난해 중국 판매량이 뚝 떨어졌다. 롤스로이스는 54%, 벤틀리는 36.9% 판매량이 급감했다. 아우디는 26년만에 중국 판매량이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마세라티는 6주간 생산을 중단하기도 했다. 중국 고가품 시장의 소비 절벽 상황을 패션 가방 액세서리, 예술품 시장, 고급 자동차 시장에 걸쳐 상중하로 짚어본다.  

◆  예술품 시장 침체 심화 

중국 예술품 시장이 심상치 않다. 2012년부터 시작된 예술품 시장 침체가 최근 들어 한층 심화되고 있다. 

중국 예술품 시장의 이번 조정기는 침체의 골이 가장 깊고 기간이 가장 긴 최악의 조정기로 꼽히고 있다. 시장 전문가들은 예술품시장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금융위기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며 깊은 우려를 표시했다. 특히 경기 둔화로 인한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예술품 시장에 공포를 안겨주고 있다.

<이미지=바이두(百度)> 

젊은 화가들은 일감이 확 줄었고, 갤러리는 줄줄이 휴업하거나 아예 문을 닫는 상황이다. 지난해 대형 경매회사의 봄·가을 경매 실적이 크게 악화된 것은 물론 중소 경매회사의 경우 경매를 한 차례만 열거나 아예 진행하지 않은 곳도 많았다. 

‘중국 예술품 경매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예술품 전체 낙찰액은 전년 대비 20% 감소한 506억위안이었다. 낙찰량도 동기 대비 28.4% 줄어들었다.

지난해 가을 경매를 열었던 경매회사는 289곳으로 전년 대비 60곳이나 감소했다. 경매 횟수 또한 전년보다 475회 줄어든 1426회를 기록했다.

중국 대표적인 예술품 경매회사 베이징바오리(北京保利), 중국자더(中國嘉德), 베이징쾅스(北京匡時), 베이징화천(北京華辰) 등은 실적 부진을 나타냈다. 주요 10대 경매회사의 지난해 낙찰액은 168억 3400만위안으로 전년 대비 15.38% 줄었으며, 낙찰량은 13.4% 감소했다. 경매 횟수와 경매량도 각각 17.61%, 13.96% 감소했다.

오랜 역사의 상하이 예술박람회는 참가 갤러리 수와 매출실적이 이전보다 현격히 떨어졌다. 대신 갤러리들은 눈길을 해외 전시회로 돌리고 있다. 비용은 높아도 반향과 매출실적이 중국보다 훨씬 낫다는 설명이다. 또 위축된 소비심리로 인해 고가의 예술품보다는 4000~5000위안대의 장식품이 잘 팔리는 추세다.

중국 예술품 수집가들이 눈길을 해외로 돌린것도 중국 시장 침체를 부추겼다. 지난해 중국의 유명 수집가 류이첸(劉益謙)은 1억7000만달러에 모딜리아니의 ‘누워있는 나부’를 낙찰 받았다. 미술품 경매 사상 역대 2위의 낙찰가다. 왕중쥔(王中軍) 화이브라더스 회장과 왕젠린(王健林) 완다그룹 회장 등 경매계 거물급 인사들도 국내 시장을 택하는 대신 해외 시장에 치중하는 모습이다.

최근 3년간 부동산과 에너지 분야의 기업가를 중심으로 자국의 예술품 시장을 이탈하는 움직임이 거세다. 예술품 가격이 계속 하락하면서 투자 메리트가 사라졌기 때문. 1980~1990년대생의 젊은 수집가들 또한 서양 현대예술을 더 선호하면서 국내 시장을 외면하고 있다.

예술품 가격의 양극화 현상도 두드러지는 추세다. 대작은 사상 최고가를 갈아치우며 몸값을 불리고 있지만, 보통의 예술품은 가격이 점점 낮아지고 있다. 작년 봄, 화가 판톈서우(潘天壽)의 ‘응석산화도(鷹石山花圖)’는 2억7900만위안에 낙찰됐지만, 90% 이상의 경매품은 50만위안 이하에 가격이 형성돼 있다.

판톈서우(潘天壽) ‘응석산화도(鷹石山花圖)’ <이미지=바이두(百度)>

한편 골동품 시장은 2년 연속 침체기를 이어오고 있다. 골동품 구매 고객이 60% 감소하고 골동품 가격 또한 70% 내려앉았다. 특히 자금압박에 부딪힌 여러 기업인들이 손실을 감안하고 브로커에게 골동품을 내다 팔면서 시장 교란을 일으켰다는 지적이다. 올해 도산하거나 업종을 바꿀 골동품 업체는 10% 이상일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예술품 시장 가운데 소장과 투자 분야가 좀처럼 침체 국면에서 헤어나오지 못 하고 있다. 특히 유동성 자금이 주식시장, 금, 신흥산업으로 몰리고 있어 예술품 시장이 타격을 받고 있다.

다만 앞으로 예술품 소비의 대중화가 촉진되면서 중국 예술품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것으로 전문가는 내다보고 있다. 예술품을 향유하는 계층이 더 이상 막대한 부를 축적한 소수가 아니라 중산층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얘기다. 

중국 중산층 가정이 감당할 수 있는 예술품 적정 가격은 2012년 8000위안에서 지난해 1만4000위안까지 치솟았다. 이들은 향후 예술품 시장의 주력군으로서 새롭게 활력을 불어넣는 잠재 소비층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경매장과 박람회가 도시 중산층의 예술품 소비를 촉진하는 주요 채널로 꼽힌다.

중국 경매회사들은 다른 산업과의 비즈니스 제휴를 통해 돌파구를 모색하고 있다. 베이징화천의 경우 은행, 보험, 신탁, P2P(개인 대 개인), 전당(典當), 담보업체 등과 합작하는 방식으로 사업 저변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터넷 경매 및 전자상거래 플랫폼도 예술품 시장 침체 극복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지난해 제백석(齊白石)의 ‘엽은문성책항(葉隱聞聲冊頁)’은 인터넷을 통해 1억1500만위안에 낙찰됐다. 경매에 참여하는 고객 대부분이 보수적인 성향을 갖고 있어 인터넷 경매 참여율이 저조할 것으로 여겨져 왔지만, 지난해 가을 경매에서 수많은 경매품이 인터넷을 통해 낙찰 받았다. 특히 서신은 100건 이상의 인터넷 경매가 진행, 낙찰률 100%를 달성했다. 총 낙찰액은 수백만위안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저작권자©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