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뉴스핌 조동석 기자]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선진국 성장률을 4월 전망 때보다 0.1%포인트 하향했다. 선진국의 내년 성장률은 0.2%포인트 낮춰 잡았다. 반면 신흥국은 4월 전망을 그대로 유지했다.
미국에 대해 IMF는 1분기 실적 저조를 들면서 올해 성장전망을 0.2%포인트 내려잡았다. 유로지역은 올해 성장전망은 상향됐으나, 브렉시트 영향으로 내년 성장률이 하향됐다. 일본은 브렉시트에 따른 엔화 강세가 성장에 발목을 잡았다.
이처럼 선진국 성장률 전망은 하강 곡선을 그리고 있다. 반면 신흥국은 소폭 상승하거나 기존 전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선진국과 신흥국의 성장이 따로 가는 것이다.
DM 선진시장, EM 신흥시장. |
이에 대해 모건스탠리는 신흥국의 성장기반 확충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신흥국들이 경제의 비효율을 해소하기 위한 개혁 조치 강화 등으로 지속가능 성장의 기틀을 마련했다고 평가한다.
모건스탠리는 신흥국들이 2013년 미국의 긴축발작(taper tantrum·양적완화정책이 긴축으로 전환될 때 금융시장이 겪는 충격)과 지난해 원자재 가격 급락을 계기로 정부가 적극적인 정책대응에 나섰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전세계 GDP의 37%를 차지하는 신흥 10개국(브라질 인도 인도네시아 한국 멕시코 폴란드 러시아 대만 태국 터키)의 성장률이 올해 2.7%에서 내년 3.8%로 반등할 것으로 내다봤다.
신흥국들은 미국의 금리인상 여지 제한으로 자본유출에 대응한 통화정책 부담이 완화됨에 따라 경기부양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신흥국의 하방리스크는 대내적 요인(유휴설비 등)보다 선진국 및 중국 경제 등 대외적 요인에 좌우될 전망이다.
세계은행(WB)의 예측도 선진국과 신흥국의 성장 디커플링 현상에 힘을 보태고 있다. WB는 선진국 성장 전망에 대해 신흥국 성장 둔화에 따른 수출실적 악화, 투자 둔화 등으로 1월 전망 대비 0.5%포인트 하향했다.
신흥·개도국은 단기적으로는 성장이 제한적이나 유가 상승에 따른 원자재 수출국 경기 회복 등으로 향후 성장률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